“북한, 아태지역서 ‘인권 참사’ 위험 가장 높아…개선 조짐 없어” > 사회

본문 바로가기

사회

“북한, 아태지역서 ‘인권 참사’ 위험 가장 높아…개선 조짐 없어”
"North Korea has the highest risk of 'human rights disaster' in the Asia-Pacific region... No signs of improv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상진 작성일 24-02-20 04:00 댓글 0

본문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아시아 태평양 보호책임 센터(APR2P)’가 19일 공개한 보고서. 북한과 중국, 미얀마가 아태 지역에서 인권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지적됐다.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아시아 태평양 보호책임 센터(APR2P)’가 19일 공개한 보고서. 북한과 중국, 미얀마가 아태 지역에서 인권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지적됐다.
A report released by the Asia-Pacific Protection Responsibility Center (APR2P)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in Australia on Wednesday showed that North Korea, China and Myanmar are the countries most likely to face human rights disasters in the Asia-Pacific region.

 

북한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인권 참사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3개국 중 하나로 지목됐습니다. 북한에서 광범위하고 중대한 인권 유린이 지속되며 어떠한 개선 조짐도 없다는 지적입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North Korea has been ranked as one of the three countries with the highest risk of human rights disasters in the Asia-Pacific region. It is pointed out that widespread and serious human rights abuses continue in North Korea and there are no signs of improvement. Reporter Cho Sang-jin reports.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아시아 태평양 보호책임 센터(APR2P)’는 19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북한을 아태 지역에서 중국, 미얀마와 함께 인권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3개국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In a report released on the 19th by the University of Queensland's Asia-Pacific Protection Responsibility Center (APR2P), North Korea is one of the three countries most likely to face human rights disasters along with China and Myanmar in the Asia-Pacific region.

보고서는 참사가 발생할 위험도를 ‘매우 높음’, ‘높음’, ‘중간’, ‘낮음’, ‘매우 낮음’ 등 5단계로 나눴는데, 북한은 ‘매우 높음’ 단계로 분류돼 인권 침해가 가장 심각한 국가로 지목됐습니다.
The report divided the risk of a disaster into five levels: "very high," "high," "medium," "low," and "very low." North Korea was classified as "very high" and was cited as the most serious country for human rights violations.

보고서는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보고를 인용해 “북한 내 인권 상황이 여전히 매우 심각하며, 어떤 면에서도 개선 조짐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is still very serious, and there are no signs of improvement in any way," the report said, citing a report by the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특히 현재 인구의 약 40%에 해당하는 1천 200만 명이 여전히 영양실조에 시달리는 상황을 예로 들었습니다.
In particular, 12 million people, about 40% of the current population, are still suffering from malnutrition.

또한 만연한 식량 분배 차별, 고문과 살해가 일상화된 정치범수용소 실태, 노동 착취 등에 진전이 없는 점도 거론했습니다.
It also mentioned widespread food distribution discrimination, the state of political prison camps where torture and killings have become commonplace, and the lack of progress in labor exploitation.

이어 신종 코로나 사태 이후 북한 당국이 북중 국경을 넘는 주민에 대한 사살 명령을 내리면서 북한 내 인권 문제가 여전히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Following the novel coronavirus outbreak, North Korean authorities ordered the killing of residents crossing the North Korea-China border, saying human rights issues in North Korea remain very worrisome.

아울러 상황이 이렇게 심각한데도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크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He also pointed ou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 is not great, even though the situation is so serious.

다만 조 바이든 행정부 취임 이후 미국의 북한 인권 문제 대응 방식은 긍정적인 변화라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해 유엔을 통해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모색하면서 국제적 조치의 긍정적인 도약을 구축했다는 것입니다.
However,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Joe Biden administration, the U.S. has responded 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as a positive change.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made a positive leap forward in international action as it sought to resolve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through the United Nations last year.

그러면서 이것이 북한으로부터 구체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긴 어렵겠지만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다시 집중시켰다고 진단했습니다.
He also diagnos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elicit a concrete change in behavior from North Korea, but it refocus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interest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보고서는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구체적 제언도 내놨습니다.
The report also made specific suggestions for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먼저 북한에는 반인도적 범죄행위를 즉시 중단할 것과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및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등과 건설적으로 협력해 인권 관련 조약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계획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First, we urge North Korea to immediately stop its crimes against humanity and work constructively with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Representative for Human Rights (OHCHR) and the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to develop a plan to faithfully fulfill human rights-related treaty obligations.

또한 각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고 북한의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와 인권이사회, 총회를 활용해 협력하며, 북한과 다자적, 양자적, 비공식적 채널을 활용해 인권 개선 독려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He also pointed out that each U.N. member state should appoint a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cooperate with the U.N. Security Council,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General Assembly to promote and protect North Korea's human rights, and seek to encourage human rights improvement using multilateral, bilateral and informal channels with North Korea.

또한 유엔 안보리에는 인권 문제에 대한 북한과의 비공식 논의 재개를, 유엔 인권이사회에는 북한 인권 유린의 책임규명을 위한 각국, 시민단체와의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The UN Security Council also called for the resumption of informal discussions with North Korea on human rights issues, and the UN Human Rights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countries and civic groups to identify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abuses in North Korea.

호주 정부의 기금 지원을 받는 아시아 태평양 보호책임 센터는 지난 2017년부터 각국의 인권 참사 위험과 관련한 보고서를 공개해 왔으며, 북한은 매년 가장 인권 참사 위험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한 곳으로 지목돼 왔습니다.
The Australian government-funded Asia-Pacific Center for Protection and Responsibility has released reports on human rights disasters in each country since 2017, and North Korea has been named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risk of human rights disasters every year.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
This is Cho Sang-jin from VOA News.

Forum
Forum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