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동서남북] NATO와 손잡은 한국, 일본 > 정치

본문 바로가기

정치

[뉴스 동서남북] NATO와 손잡은 한국, 일본
[News: East, west, north, south] Korea and Japan have joined hands with NATO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원기 작성일 22-07-02 00:05 댓글 0

본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가운데)과 윤석열 한국 대통령(왼쪽),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9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회담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가운데)과 윤석열 한국 대통령(왼쪽),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9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회담했다.
U.S. President Joe Biden (center),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eok-yeol (left), and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met in Madrid, Spain, where the NATO summit is being held on the 29th.

 

한반도 주요 뉴스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는 ‘쉬운 뉴스 흥미로운 소식: 뉴스 동서남북’ 입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질서가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이 아닌 한국과 일본의 정상이 최근 열린 나토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함께 북한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국제적 흐름이 바뀌고 있는 가운데 북한을 비롯한 한반도 문제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최원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It is "Easy News Interesting News: News East, West, North and South," which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major new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ternational order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entering the "New Cold War era." The leaders of South Korea and Japan, not members of NATO, discussed North Korea with U.S. President Joe Biden at a recent NATO summit. Reporter Choi Won-ki will tell you what will happen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amid the changing international trend.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29일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와 관련해 특징적인 일 중 하나는 나토 회원국이 아닌 한국과 일본 정상의 참석이었습니다.
One of the highlights of the NATO summit in Madrid, Spain, on the 29th was the attendance of the leaders of South Korea and Japan, not NATO members.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미-한-일 3자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U.S. President Joe Biden held a three-way summit with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eok-yeol and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먼저 발언한 바이든 대통령은 “미-한-일 3각 협력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등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Biden, who spoke first, said, "The U.S.-Korea-Japan trilateral cooperation is essential to achieving common goals such as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바이든 대통령] “This is an opportunity to further coordinate our trilateral efforts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DPRK.”
[President Biden] "이것은 특히 북한과 관련하여 3국간의 노력을 더욱 조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고도화로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Yoon Seok-yeol went on to say,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advancement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윤석열 대통령] “국제정세의 불안정이 커진 상황에서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President Yoon Seok-yeol] "In the face of growing in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importance of Korea-U.S.-Japan cooperation has increased."

이번 나토 정상회담은 국제질서가 31년만에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고 있음을 압축적으로 보여줬습니다.
The NATO summit comprehensively showed that the international order is entering a "new Cold War era" for the first time in 31 years.

우선 미국과 나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2010년에 만들어진 ‘전략개념’을 12년만에 완전히 뜯어고쳤습니다.
First of all, the U.S. and NATO completely changed the "strategic concept" created in 2010 in the wake of Russia's invasion of Ukraine for the first time in 12 years.

 

그동안 나토는 러시아를 ‘잠재적 전략적 파트너’(potential strategic partner)로 규정해 왔는데 이를 ‘가장 중대하고 직접적인 위협’(most significant and direct threat)으로 바꿨습니다.
NATO has called Russia a "potential strategic partner" and has replaced it with "most significant and direct threat".

러시아에 대한 봉쇄 조치도 나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폴란드에 미 육군 5군단 사령부를 영구 배치한다고 밝혔습니다.
There was also a blockade against Russia. President Biden says he will permanently deploy the U.S. Army's Fifth Army Command in Poland.

또 루마니아에는 추가적으로 3천명 규모의 미군 순환배치 여단과 2천명 규모의 병력을 유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It also said it would maintain an additional 3,000 U.S. Army Circular Brigade and 2,000 troops in Romania.

이와 함께 발트 3국 즉,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 대한 미군 순환 배치도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It also says it will increase the U.S. military circulation to the three Baltic countries, namely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영국에는 미군 F-35 스텔스기 2개 대대를 추가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스웨덴과 핀란드 등 중립국들도 나토 가입을 공식화 하고 있습니다.
Two additional U.S. F-35 stealth jets will be deployed in the United Kingdom. Neutral countries such as Sweden and Finland are also formalizing NATO membership.

나토는 특히 이번 정상회의에서 “베이징의 야망과 강압적인 정책이 서방의 이익과 안보 가치에 도전이 되고 있다”며 중국을 ‘구조적 도전’(systemic challenges)으로 규정했습니다.
NATO, in particular, called China a "systemic challenge," saying that Beijing's ambitions and coercive policies are challenging Western interests and security values.

한국과 일본, 호주같은 아시아태평양 국가를 이번 정상회의에 참여시킨 것도 중국 견제를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The participation of Asia-Pacific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Japan and Australia in the summit is also believed to be aimed at checking China.

과거 한국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유명환 전 장관은 국제정세가 새로운 신냉전 시대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한국으로서는 이런 흐름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Former Foreign Minister Yu Myung-hwan, who served as the former Foreign Minister of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in South Korea, said South Korea could not help but join the trend a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entered a new Cold War era.

 

[녹취: 유명환 전 장관] ”옛날에는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이었는데 지금은 민주주의와 독재이고,푸틴과 시진핑이라는 전체주의 성향의 지도자로 인해 우리가 그런 상황을 원한 게 아니라도 끌려간 거죠.”
[Recording: Former Minister Yoo Myung-hwan] "It used to be a free camp and a communist camp, but now it's democracy and dictatorship, and Putin and Xi Jinping, who are totalitarian leaders, have taken us in even if we didn't want them."

당연히 중국은 이같은 구도에 반발합니다. 중국 외교부는 30일 나토의 새로운 전략개념에 대해 “엄중하게 우려하며 결연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Of course, China opposes this. China's Foreign Ministry said on Thursday it was "deeply concerned and resolutely opposed" to NATO's new strategic concept.

그러면서,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상황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습니다.
He warned, "I will not sit back and watch the situation that harms China's interests."

이로써 1991년 소련 붕괴로 시작된 다극체제와 평화시대는 31년만에 막을 내리고 러시아-중국 진영과 미국-나토 진영이 갈등하는 새로운 시대가 개막된 것으로 보입니다.
This seems to have ended the era of multi-polarism and peace, which bega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in 31 years,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Russian-Chinese camp and the U.S.-NATO camp has begun.

관심사는 이렇게 국제정세가 바뀜에 따라 북한을 비롯한 한반도 문제가 어떻게 될지 여부입니다.
The concern is what will happen to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a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changes.

전문가들은 미-중 패권경쟁이 고조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질서가 벌써 냉전 구도로 돌아갔다고 말합니다.
Experts say the order in Northeast Asi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s already returned to the Cold War structure as the U.S.-China hegemony race intensifies.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한국과 일본을 순방하면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를 출범시켰습니다.
Earlier in May, President Biden launched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to keep China in check on South Korea and Japan.

미국, 일본, 호주, 인도 4개국 안보협의체인 ‘쿼드’ 정상회의도 개최했습니다.
It also hosted the Quad Summit, a four-nation security consultative body for the United States, Japan, Australia and India.

또 일본의 방위비 증액을 지지하고 미국-한국-일본 관계를 강화시켰습니다.
He also supported Japan's increased defense spending and strengthened U.S.-South Korea-Japan relations.

동북아에서 중국-북한-러시아 대 미국-한국-일본 대결 구도가 강화되면서 북한 문제는 더 풀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China, North Korea, Russia, the U.S., South Korea, and Japan in Northeast Asia has been strengthened, the North Korean problem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solve.

예를 들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7년 11월 북한이 화성 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자 미국과 중국,러시아는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결의 2397호를 채택했습니다.
For example, when North Korea launched a Hwasong Type 15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in November 2017,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adopted Resolution 2397 at the U.N. Security Council.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북한이 수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미국은 5월 26일 유엔 안보리에서 이를 규탄하는 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려 했습니다.
But things have changed this year. After North Korea fired ballistic missiles several times, the U.S. tried to adopt a sanctions resolution condemning them at the U.N. Security Council on May 26.

그러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해 이 결의안은 부결됐습니다.
But the resolution was rejected because China and Russia,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vetoed it.

동북아 질서가 중국-북한-러시아 대 미국-한국-일본 대결 구도로 돌아가면서 한국의 외교적 입지는 좁아지고 있습니다.
As the Northeast Asian order turns into a confrontation between China, North Korea, Russia,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South Korea's diplomatic position is narrowing.

 

앞서 한국 문재인 정부는 2018년과 2019년 미국과 북한을 설득하고 중국의 측면 지원을 받아 두 차례 미-북 정상회담을 중재하고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열었습니다.
Earlier, the South Korean Moon Jae In government persuaded the U.S. and North Korea in 2018 and 2019, and with side support from China, it mediated two U.S.-North Korea summits and held three inter-Korean summits.

그러나 지금처럼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는 한국 정부의 운신의 폭은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However, in the face of the escalating U.S.-China conflict, the scope of the Korean government's movements is bound to be limited.

이런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은 북한 핵 문제에 양면성이 있다고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조한범 박사는 말했습니다.
For this reason, President Yoon Seok-yeol's attendance at the NATO summit has two side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aid Cho Han-beom, a researcher at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국의 협조가 필수적인데 이렇게 중국 견제에 동조하면 북-중 결속만 강화된다는 겁니다.
China's cooperation is essential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and if China agrees with China's checks, only the solidari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ill be strengthened.

[녹취: 조한범 박사] “지금 북한 문제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국가는 중국 정도거든요. 결국 이 흐름은 민주 진영의 결속력이 강화되는 반면에 북-중-러의 결속이 더 강화되는 계기로도 작용할 수 있거든요. 진영 논리가 강화되는 것은 북 핵 문제 해결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볼 순 없죠.”
[Recording: Dr. Cho Han-beom] "The only country that can influence North Korea is China. In the end, this trend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democratic camp while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of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Strengthening the logic of the camp doesn't really help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미-중 갈등이 고조된다고 해서 북한 핵 문제가 풀리지 않는다고 볼 필요는 없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Some say that the escalation of the U.S.-China conflic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not be resolved.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대해 ‘봉쇄‘와 경쟁’만 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은 중국과 협력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협력하겠다는 입장입니다.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S. does not only seek "blockage" and competition against China. The U.S. is willing to cooperate on matters that can be cooperated with China.

특히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의 협력을 바라고 있습니다.
In particular, we hope that China will cooperate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달 13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을 룩셈부르크에서 만났습니다.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Jake Sullivan met Yang Jiechi, a member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olitical bureau, in Luxembourg on the 13th of last month.

이 자리에서 설리번 보좌관은 북한 핵 문제는 미국과 중국이 협력할 수 있는 영역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At the meeting, Sullivan made it clear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an area where the U.S. and China can cooperate.

따라서 이번 나토 정상회의 이후 미국과 중국 수뇌부는 조만간 소통을 갖고 북한 문제를 비롯한 현안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So, after the NATO summit, the leader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ll soon be able to communicate and discuss issues including North Korea.

그러나 한반도 상황을 오래 관찰해온 켄 고스 미 해군분석센터 국장은 미-중이 북한 문제에 협력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합니다.
But Ken Goss, director of the U.S. Naval Analysis Center, who has been monitoring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says it is unlikely that Washington and Beijing will cooperate on North Korea.

미국이 이처럼 중국을 봉쇄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을 도울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There is no reason for China to help the U.S. at a time when the U.S. is blocking China.

[녹취: 켄 고스 국장] ”We are containing China, why China help us to North Korea?”
[Recording: Director Ken Goss] "우리는 중국을 포함하고 있는데, 왜 중국이 우리를 북한에 도와주나요?"

유명환 전 장관도 중국의 협조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Former Minister Yu Myung-hwan also said he could not expect China's cooperation.

중국이 북한 비핵화를 바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핵 개발을 방관하고 있다는 겁니다.
China wants to denuclearize North Korea, but it is actually sitting on the sidelines for nuclear development.

[녹취: 유명환 전 장관] ”북한의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서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해서는 안되는데, 비토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인테그리티(진실성)에 문제가 있는 거지요.”
[Recording: Former Minister Yu Myung-hwan] "China should not veto North Korea's apparent violation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but exercising non-tributive rights is a matter of integrity."

한반도를 둘러싼 큰 그림이 바뀌고 있습니다.
The big picture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changing.

새로운 국제질서에서 한반도가 어떤 변화와 선택에 직면하게 될지 주목됩니다.
Attention is focusing on what changes and choices the Korean Peninsula will face in the new international order.

VOA뉴스 최원기입니다.
I'm Choi Won-ki from the news.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