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이산가족, 북한 김정은 ‘남북 교전국’ 선언에 절망…통일부 “문제 해결 포기 안해” > 사회

본문 바로가기

사회

한국 내 이산가족, 북한 김정은 ‘남북 교전국’ 선언에 절망…통일부 “문제 해결 포기 안해”
Separated Families in South Korea Desperate Over North Korean Kim Jong-un's Declaration of Inter-Korean Warring States… Ministry of Unification "We Will Not Give Up Solving Problems"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환용 작성일 24-02-23 04:35 댓글 0

본문

지난 2015년 한국 서울 중구 소파로 대한적십자사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추진센터에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 1차 후보자 추첨에서 선정되지 못한 조갑순 할머니가 눈물을 닦으며 센터를 나서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2015년 한국 서울 중구 소파로 대한적십자사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추진센터에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 1차 후보자 추첨에서 선정되지 못한 조갑순 할머니가 눈물을 닦으며 센터를 나서고 있다. (자료사진)
Grandmother Cho Kap-soon, who was not selected in the first round of candidates for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held at the Center for Life and Death of separated families of the Korean Red Cross in Sofa-ro, Jung-gu, Seoul, South Korea, in 2015, leaves the center while wiping away tears. (photo)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관계를 교전 중인 적대국 관계로 규정하면서 이산가족들의 상봉에 대한 희망은 절망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어떤 언동에도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Hopes for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are turning into despair a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s defined inter-Korean relations as hostilities in w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in a position not to give up on resolving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in any way North Korea says or does. Reporter Kim Hwan-yong reports from Seoul.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교전국 관계로 규정하면서 대남정책 전환을 선언했습니다.
At the end of last yea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declared a change in policy toward the South, defining inter-Korean relations as hostile belligerent relations.

김정은(가운데)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제8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이 지난달 31일 공개한 사진.

같이 보기:

북한 김정은 “대미·대남 초강경 정책” 강조… 윤석열 대통령 “올 상반기 미한 확장억제 완성”
Watch togethe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emphasizes "ultra-hard policy toward the U.S. and South Korea"... President Yoon Suk Yeol "Completed extended deterrence against the U.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이는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관계’로 규정한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한 겁니다.
This is a direct denial of the spirit of the 1991 Inter-Korean Basic Agreement, which defined it as a "special relationship tentatively form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not a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한국 내 이산가족들은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Chairman Kim's remarks have deepened the grief of separated families in Korea.

남북이산가족협의회 심구섭 고문은 상봉에 대한 실낱 같은 희망이 절망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Shim Gu-seop, an adviser to the South-North Korean Council of Separated Families, said glimmer of hope for reunions is turning into despair.

[녹취: 심구섭 고문]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까? 더구나 북한에서 김정은이 지금 대남방송을 하는 걸 보면 동족으로서 이런 게 있을 수 있는가 상당히 회의감도 갖고 거의 절망 상태입니다.”
[Recording: Shim Gu-seop, advisor] "Can you be hopeful? Moreover, seeing Kim Jong-un now broadcasting to the South, I am very skeptical about such a thing as a kind of person in North Korea, and I am almost hopeless."

미한 두 나라는 북한의 이 같은 적대적 언행에도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입니다.
Despite North Korea's hostile words and actions, the U.S. and South Korea are determined to strengthen cooperation to resolve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방한 중이던 지난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영호 한국 통일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한국인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가 셀 수 없이 많고, 탈북민도 가족과 이별해 이산의 아픔을 겪고 있다며, “캠프 데이비드 정신에 근거해 미한일이 지속해서 협력함으로써 이산가족을 도울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Julie Turner, U.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met with South Korean Unification Minister Kim Young-ho at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on the 21st while visiting Korea, saying that there are countless South Koreans kidnapped by North Korea, detainees, and South Korean prisoners of war, an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separated from their families and suffer from separation. "Based on the spirit of Camp David,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should continue to cooperate to find ways to help separated families."

줄리 터너(왼쪽)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전영희 한국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이 21일 서울 시내 외교부 청사에서 회동하고 있다. (한국 외교부 제공)

같이 보기:

미 북한인권특사 “올해가 북한 인권 강조 적기…한국과 협력”
Watch together: U.S. Special Envoy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is year is the right time to emphasize human rights in North Korea...cooperation with South Korea"

김영호 장관은 설날인 지난 10일 임진각에서 진행된 망향경모제에 참석해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과 언동에도 흔들리지 않고 이산가족, 국군포로, 납북자, 억류자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inister Kim Young-ho attended the Manghyang Memorial Festival held at Imjingak on the 10th, the Lunar New Year's Day, and said, "The government will not give up and move forward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s of separated families, South Korean prisoners of war, abductees, and detainees."

[녹취: 김영호 장관] “정부는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는 언제든지 열려있습니다. 북한은 그 어떤 정치적 고려 없이 진정하게 호응해야 할 것입니다.”
[Recording: Minister Kim Young-ho] "The government is always open to dialogue to resolve humanitarian issues, including separated families. North Korea will have to genuinely respond without any political considerations."

한국 정부에 이산가족 등록 신청을 한 인원은 지난해 12월 기준 13만3천900여명입니다. 고령화에 따른 사망으로 생존자는 3만9천500여명까지 줄었습니다.
As of December last year, 133,900 people applied to the Korean government for registration of separated families. The number of survivors has decreased to 39,500 due to the aging population.

생존자 가운데 70세 이상이 84%에 달합니다.
Among the survivors, 84% are over 70 years old.

이산가족 교류는 남북관계 악화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에 따른 북한의 봉쇄정책 등으로 최악의 상황입니다.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is at its worst due to worsen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s containment policy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disease.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남북 이산가족 교류는 민간을 통한 서신교환 2건이 전부였습니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re were only two exchanges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private sector last year.

2022년에도 민간 차원에서 생사 확인 1건, 서신 교환 2건에 불과했습니다.
In 2022, there was only one confirmation of life or death and two correspondence exchanges at the private level.

이는 정부를 통한 교류와 민간을 통한 교류 전체를 통틀어 1990년 이래 최저 수준입니다.
This is the lowest level since 1990 for all exchanges through the government and through the private sector.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남북 당국 차원의 교류는 한 건도 없는 상태입니다.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there has been no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남북 당국을 통한 교류 중 생사 확인은 2007년 1천196건, 상봉 건수로는 2003년 598건이 역대 최대였습니다.
Dur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1,196 cases were confirmed in 2007, and 598 cases were confirmed in 2003.

민간 차원에서는 서신 교환이 가장 많았던 해는 984건을 기록한 2000년이었고, 상봉은 2003년 283건으로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At the private level, the highest number of correspondence was in 2000, when 984 cases were recorded, and in 2003, 283 cases were recorded, the highest number of reunions.

이산가족 문제 전문가인 임순희 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 관료 출신 탈북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이른바 ‘동요계층’ 관리 차원에서 이산가족 현황을 잘 정리해 놓은 상태라며, 북한이 그럼에도 생사 확인 요구조차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이 문제를 인권 차원이 아닌 정치 이벤트로, 다른 실익을 챙기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해 온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Lim Soon-hee, a former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who specializes in separated families, said, "According to the testimon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former North Korean official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well organized the status of separated families in terms of management of the so-called 'child class,' and the reason North Korea does not even accept the request for confirmation of life and death is because it has used the issue as a political event, not a human right, as a means to take advantage of other benefits."

[녹취: 임순희 전 선임연구위원] “김정일 때부터 사실 이산가족 문제 해결하겠다고 한 건 심하게 표현하면 제스처에요. 남북간에 만난다 대화한다 이러면서 하나의 상징으로 된 게 이산가족 상봉이었어요.”
[Recording: Lim Soon-hee, former senior researcher] "The fact that Kim Jong Il promised to resolve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is a gesture to express it harshly. It became a symbol that they would meet and talk between the two Koreas."

이산가족들은 신종 코로나 사태 종식으로 북한이 국경 봉쇄를 완화하는 데 따라 중국 등을 통한 민간 차원의 교류 재개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The separated families expect to resume civilian-level exchanges through China and other countries as North Korea eases its border blockade due to the end of the novel coronavirus outbreak.

심구섭 고문은 중국에서 북한을 오가며 무역을 하는 이들을 통한 서신 교환이 신종 코로나 사태로 막혔는데 3월이면 재개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Advisor Shim Gu-seop said correspondenc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has been blocked by the new coronavirus outbreak, and news has been reported that it will resume in March.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중국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뤄졌던 이산가족 접촉은 김정은 위원장이 한국을 교전 중인 제1주적으로 규정한 만큼 위험한 일이 됐다고 진단했습니다.
Cho Han-beom,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said, "The unofficial contact of separated families in China in the past has become dangerous as Chairman Kim Jong-un defined South Korea as the first state in the war."

[녹취: 조한범 선임연구위원] “과거엔 여러 가지 북한 당국이 묵인했던 일들도 이제는 접촉하면 반역이 되고 적과의 내통이 되는 거거든요.지난해가 남북관계 악화로 인해서 최악이었다고 하면 이제 김정은 위원장이 2국가 관계 선언 이후론 완전히 중단되는 아마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개념 자체가 소멸될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Recording: Cho Han-beom, senior researcher] "Things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lerated in the past are now treasonous and internal communication with the enemy. If last year was the worst due to worsening inter-Korean relations, it could be a dangerous situation that could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the concept of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which will be completely suspended afte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declared the two-state relationship."

심구섭 고문은 북한은 물론 한국 정부도 이산가족 문제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원칙만 되풀이할 뿐 생사 확인 요구 등 최소한의 행동도 하지 않고 있다며 모두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습니다.
Shim Gu-seop said, "North Korea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re only repeating the principle of not giving up on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and are not taking minimal actions, such as asking for confirmation of life and death," adding, "We are moving away from everyone's attention."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I'm Kim Hwan Yong from VOA News in Seoul.

Forum
Forum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