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북한 연이은 ICBM 도발에도 무기력…중·러 거부권 한층 노골화 > 정치

본문 바로가기

정치

유엔 안보리, 북한 연이은 ICBM 도발에도 무기력…중·러 거부권 한층 노골화
The U.N. Security Council is lethargic despite North Korea's series of ICBM provocations.China and Russia's veto power becomes more explicit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환용 작성일 22-11-22 12:56 댓글 0

본문

21일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의 최근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했다.

 21일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의 최근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했다.
On the 21st, the U.N. Security Council discussed the issue of North Korea's recent ICBM launch.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시험발사 도발로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또다시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로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중러의 북한 편들기가 한층 노골화됐다며 이런 구도가 상당 기간 고착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The U.N. Security Council, which was convened due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and an ICBM test, ended with no results due to the rejection of China and Russia again. Experts predict that this structure will be fix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saying that China and Russia's side with North Korea has become more explicit. Reporter Kim Hwan-yong reports from Seoul.

북한이 최근 신형 ICBM인 ‘화성-17형’ 시험발사를 한 데 대응해 21일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도발이 미국 때문이라는 주장을 반복했습니다.
In response to North Korea's recent test-firing of its new ICBM, "Mars-17," China and Russia repeated their claim at the U.N. Security Council on the 21st that North Korea's provocations were due to the U.S.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대북 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하면서 북한이 ICBM을 발사했을 때 자동으로 대북 제재를 강화하도록 합의한 바 있습니다.
When the Security Council adopted Resolution 2397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2017, it agreed to automatically strengthe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en North Korea launched an ICBM.

이 결의에는 대북 정유제품의 연간 공급량 상한선인 50만 배럴과 원유 공급량 상한선 400만 배럴을 추가로 감축한다는 구체적인 방향까지 명시돼 있습니다.
The resolution even stipulates specific directions to further reduce the annual supply ceiling of 500,000 barrels of refineries to North Korea and the upper limit of 4 million barrels of crude oil.

하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자동 강화’라는 이 규정에 대해서도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겁니다.
However, China and Russia, which are permanent members, also exercised veto power over the rule of "automatic reinforcement," which did not have any effect.

장쥔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대화로 복귀하기 위해 미국이 신의를 보여야 한다”면서 “군사훈련을 중단하고 북한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는 등 구체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Chinese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Zhang Jun said, "The United States must show faith in order to return to dialogue," adding, "We need to take concrete measures such as stopping military training and easing sanctions on North Korea."

장 대사는 또 “안보리가 북한 문제와 관련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항상 규탄하고 북한을 압박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Ambassador Jang also argued, "The Security Council should play a constructive role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issue and should not always condemn and pressure North Korea."

안나 에브스티그니바 유엔 주재 러시아 차석대사도 “미국의 동북아 지역 동맹들과 미국이 대규모 군사훈련을 벌여 북한이 그에 따라 예상대로 행동한 것”이라면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평양을 일방적으로 무장해제시키려는 워싱턴의 욕망 때문”이라고 미국을 비난했습니다.
Russia's deputy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Anna Evstigniva, also accused the U.S. of unilaterally disarming Pyongyang, saying that the U.S. and the U.S. conducted massive military exercises.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운데)가 21일 북한의 최근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회의를 마친 뒤 관련 성명을 발표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운데)가 21일 북한의 최근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회의를 마친 뒤 관련 성명을 발표했다.
U.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Linda Thomas-Greenfield (center) issued a statement after a Security Council meeting to discuss North Korea's recent ICBM launch on the 21st.

 

북한은 올들어서만 ICBM을 8차례 발사했습니다. 또 북한 탄도미사일과 관련해 안보리가 소집된 게 올들어 이번이 10번째입니다.
North Korea has fired eight ICBMs this year alone. Also, this is the 10th time this year that the Security Council has convened regarding North Korean ballistic missiles.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지난 2월 올해 첫 ICBM을 쏘면서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유예 즉 모라토리엄을 깬 이후 번번이 중러의 거부권 행사로 안보리 대응이 무력화됐다며 중러의 북한 편들기가 한층 노골화하는 양상이라고 말했습니다.
Park Won-gon, a professor of North Korean studies at Ewha Womans University, said, "Since North Korea fired its first ICBM in February, the U.S. Security Council has repeatedly exercised veto power, making it more explicit to side with North Korea."

[녹취: 박원곤 교수] “그나마 쌍중단은 북한 측에 뭔가 행동을 요구한 것이었는데 이번 장쥔 대사 발언을 보면 북한에 대한 요구는 전혀 없지 않습니까. 미국이 연합훈련이라든지 제재를 선해제해야 한다든지 그것은 북한이 2019년 12월 7기 5차 전원회의에서 정면돌파전 얘기하면서 적대시 정책의 선철회 없이는 아무런 의미있는 대화할 수 없다고 얘기한 북한 노선에 100% 동조한 것이죠.”
[Recording: Professor Park Won-gon] "At least, the interruption was a request from North Korea, but looking at Ambassador Jang Jun's remarks, there is no demand for North Korea at all." Whether the U.S. should pre-empt joint exercises or sanctions, it is 100% sympathetic to North Korea's line that North Korea talked about a head-on breakthrough at the 5th plenary session of the 7th Congress in December 2019 and said it could not have meaningful dialogue without a withdrawal of hostile policy."

유엔은 앞서 지난 4월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열흘 내 총회를 소집해 관련 사안에 대해 토론을 하도록 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In April, the United Nations passed a resolution requiring a general meeting to be convened within 10 days to discuss related issues if a permanent member vetoes it.

그러나 이 같은 결의안도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러가 북한의 도발을 계속 감싸더라도 이를 제어하는 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입니다.
However, since the resolution does not restrict permanent members from exercising their veto power, it is pointed out that even if China and Russia continue to protect North Korea's provocations, it is not enough to control them.

천영우 전 한국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미중 전략경쟁이 격화하면서 중국이 북한을 전략자산으로 여기는 태도가 확연해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Chun Young-woo, former senior presidential secretary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diagnosed that China's attitude toward North Korea as a strategic asset is becoming clear as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tensifies.

천 전 수석은 중국은 과거 미중 경쟁이 덜 치열했을 땐 북한의 핵 개발이나 ICBM 도발을 미국의 동북아 군비 증강을 유발하는 전략적 부담으로 생각했지만 지금은 이를 미국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hen says China used to think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or ICBM provocations as a strategic burden for the U.S. to increase its arms in Northeast Asia when the U.S.-China competition was less intense in the past, but now sees them as a means to counter the U.S.

[녹취: 천영우 전 수석] “지금은 어차피 미국이 본격적으로 중국 봉쇄에 나섰고 전략경쟁은 피할 수 없게 됐고 이런 상황에선 지금 저런 북한이라도 미국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서 유용성이 더 커졌고 또 북한을 끌어 안는 게 앞으로 미국에 대항하는데 방패로서, 미국을 괴롭히는 데 가치를 중시하게 된 거죠.”
[Recording: Chun Young-woo] "Now that the U.S. has begun to block China in earnest, strategic competition is inevitable, and in this situation, it is more useful as a card for North Korea to use as a shield against the U.S. in the future

천 수석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증폭된 미국에 대한 복수심 때문에 외교적으로 자국을 전폭 지지하고 나선 북한에 대한 편들기에 한층 적극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hen explained that Russia is more active in taking sides with North Korea, which has been diplomatically supporting the U.S. because of its increased revenge for the U.S. since the invasion of Ukraine.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홍민 북한연구실장은 중국의 경우 북한의 핵 무력 증강을 미국의 대중국 포위전선에 대응한 지렛대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적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며 북 핵 문제가 더 이상 미중 간 협력 분야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Hong Min, head of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id, "China seems to have made a strategic decision to use North Korea's nuclear arms buildup as leverage against the U.S.-China siege."

홍 실장은 안보리에서 빚어지는 반복된 갈등은 미중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에서의 경쟁과 대치 구도를 그대로 반영한 모습이라며 이런 상황이 어느 정도 장기화하면서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Hong predicted that the repeated conflicts at the Security Council reflect the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in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U.S. and China.

박형중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적어도 북한 문제에 관한 한 유엔 안보리가 무기력해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Park Hyung-joong, a senior researcher at the Institute for Unification, also diagnosed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is becoming lethargic, at least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녹취: 박형중 선임연구위원] “지금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유엔의 권위가 완전히 붕괴되는 시절에 접어든 것 같고요. 그 다음에 아마도 이런 동향이 한미일과 나토와의 협력을 강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유엔 바깥에서 북한 그 다음에 중국에 대한 압력을 넣는 식의 전선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데 얼마나 강하게 실효적으로 형성될지는 두고 봐야 되겠죠.”
[Recording: Senior Researcher Park Hyung-joong] "The current situation seems to have entered a period of complete collapse of the authority of the United Nations. Then I think maybe this trend could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the U.S., Japan and NATO.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ront will be formed outside the United Nations to put pressure on North Korea and then China, and it remains to be seen how strongly and effectively it will be formed."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도 안보리 차원에서 이뤄지기 힘든 현실을 고려할 때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국가들의 독자제재가 강화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Considering the fact that addi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difficult to be imposed at the Security Council level, it is expected that Western countries' independent sanctions will be strengthene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이와 관련해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추가적인 독자 제재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South Korea's Foreign Ministry spokesman Lim said in a regular briefing on the 22nd, "We are also considering additional independent sanctions as North Korea's provocations continue."

특히 “북한이 7차 핵실험 등 중대한 도발을 감행할 경우에 북한의 사이버 활동 관여 인사에 대한 제재 대상 지정, 사이버 분야 제재 조치 부과 등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In particular, he said, "If North Korea makes a serious provocation such as its seventh nuclear test, we will consider designating sanctions on those involved in cyber activities and imposing sanctions on the cyber sector."

임 대변인은 추가적인 독자 제재 검토 과정에서 미국, 일본을 비롯한 우방국과 함께 독자 제재의 효과성을 제고할 방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Spokesman Lim explained that during the review of additional independent sanctions, he is closely consulting with the U.S., Japan and other allies on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dependent sanctions.

중러의 북한 편들기가 공고해지는 양상은 북한으로 하여금 핵 무력 강화를 향한 ‘전력 질주’를 한층 자극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Some observers say that the solidification of China and Russia's side with North Korea will further stimulate North Korea's "full-scale sprint" toward strengthening nuclear weapons.

박형중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설정한 국방력 강화 5개년 계획의 3차년도인 내년에도 추가 핵실험을 포함한 북한의 도발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습니다.
Senior researcher Park Hyung-joong predicted that North Korea's provocations, including additional nuclear tests, will likely continue next year, the third year of its five-year defense plan.

홍민 실장은 북한의 핵 무력 강화는 핵 폭탄과 투발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사거리의 미사일 개발, 그리고 핵 미사일 운용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한 군 정찰위성 개발 등 크게 세 갈래로 볼 수 있는데 최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포착된 대규모 공사 움직임으로 미뤄 북한이 내년부터 정찰위성 발사에 적극 나설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Hong Min pointed out that North Korea may launch a reconnaissance satellite from next year, given the recent large-scale construction at the West Sea satellite launch site in Dongchang-ri, Cheolsan County, North Pyongan Province.

[녹취: 홍민 실장] “그냥 일회적인 위성 발사라면 저렇게까지 서해 위성발사장을 리모델링할 필요가 없거든요. 저렇게 대대적으로 리모델링을 한다는 것은 계속 장기적으로 여러 기를 쏘기 위해서 아주 기본적으로 구조를 다시 갖춘다는 얘기를 의미하는 겁니다.”
[Recording: Chief Hong Min] "If it's just a one-time satellite launch, there's no need to remodel the West Sea satellite launch site like that. That kind of massive remodeling means that we're going to have a very basic structure to keep shooting multiple weapons in the long run."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38노스’는 앞서 지난 17일 위성사진을 토대로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의 엔진시험대에서 대규모 공사가 시작됐다고 보도했습니다.
38 North, a U.S. media outlet specializing in North Korea, reported earlier on the 17th that large-scale construction began at the engine test site of the North's West Sea satellite launch site based on satellite images.

이 매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월 위성발사장을 현지 지도한 뒤 지금까지 로켓발사대 점검, 터널 건축, 발사통제소 철거, 새 시설 건립, 단지 안팎에 새 도로 건설 등이 확인됐다고 전했습니다.
The media reported that after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guided the satellite launch site in March, it has been confirmed that rocket launchers have been inspected, tunnels built, launch control stations removed, new facilities built, and new roads inside and outside the complex.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I'm Kim Hwan-yong from VOA News in Seoul.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