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인질석방 합의 임박...아르헨티나 대선 극우 밀레이 승리 > 세계

본문 바로가기

세계

이스라엘-하마스 인질석방 합의 임박...아르헨티나 대선 극우 밀레이 승리
Israel-Hamas hostage release agreement imminent...Far-right Milay Wins Argentina's Presidential Election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정우 박영서 작성일 23-11-20 23:55 댓글 0

본문

하마스 대원들이 인질을 알시파 병원으로 끌어들이는 현장이라며 이스라엘군이 19일 공개한 영상 속 장면.

 하마스 대원들이 인질을 알시파 병원으로 끌어들이는 현장이라며 이스라엘군이 19일 공개한 영상 속 장면.
The scene was shown in a video released by the Israeli military on the 19th, saying it was the scene where Hamas members brought hostages to al-Sifa hospital.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입니다.
It's "Earth Village Today" that delivers major news from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이 있습니까?
What's the news today?

기자)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에 잡혀 있는 인질들 석방 협상이 거의 성사 단계라고 미국과 이스라엘 관리가 밝혔습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에서 극우 성향 하비에르 밀레이 후보가 당선됐습니다. 마지막으로 타이완 야권의 후보 단일화 협상이 다시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소식, 전해 드리겠습니다.
Reporter: Negotiations on the release of hostages held by Palestinian militant Hamas are almost complete, U.S. and Israeli officials say. In Argentina's presidential election, far-right candidate Javier Milay was elected. Finally, I will tell you that the Taiwan opposition's negotiations for unifying candidates have stalled again.

진행자) 지구촌 오늘, 먼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분쟁 관련 소식 알아봅니다. 미국이 테러단체로 지정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에 붙잡혀 간 인질들 석방 협상이 거의 성사 단계라는 말이 나왔군요?
Host: The Global World Today, first, we're going to learn about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So the negotiations for the release of hostages captured by Hamas, a Palestinian militant group designated by the United States as a terrorist organization, are almost complete?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 관리가 방송 회견에서 전한 내용입니다. 먼저 존 파이너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은 19일 미국 ‘ABC’ 방송과의 회견에서 인질 수십 명을 석방하는 합의가 며칠 내 마무리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관리들이 합의를 마무리하고 있고, 협상이 분명히 매우 민감한 단계에 다다랐다고 강조했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This is what U.S. and Israeli officials said in a broadcast conference. First of all, White House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er John Finner told the U.S. "ABC" on the 19th that an agreement to release dozens of hostages could be finalized in a few days. He stressed that officials were finalizing the agreement, and that negotiations had clearly reached a very sensitive stage.

진행자) 마무리 단계라는 합의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알려진 게 있습니까?
Moderator) Is there anything specific known about the agreement that is the final stage?

기자) 아닙니다. 파이너 부보좌관은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백악관의 한 관리는 “매우 민감하고 복잡한”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No, it's not. Finner gave no details. In the meantime, a White House official called it "very sensitive and complex." He said there was progress in the negotiations.

진행자) 지금 하마스에 잡혀 있는 인질 수가 몇 명인가요?
Host) How many hostages are being held by Hamas right now?

기자) 네. 모두 240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파이너 부보좌관은 미국 정부가 인질 대다수가 살아 있고, 합의가 되면 상당수가 풀려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는데요. 같은 날 미국 ‘NBC’ 방송과의 회견에서는 구체적으로 “12명”보다 훨씬 더 많은 숫자라고 말했습니다.
Reporter: Yes. There are 240 people in total. In this regard, Finner said the U.S. government believes the majority of hostages are alive and that many will be released if an agreement is reached. On the same day, in an interview with NBC in the U.S., he specifically said it was much more than "12 people."

진행자) 이스라엘 쪽에서는 인질 석방 협상에 대해 어떤 말이 나왔나요?
What did the Israeli side say about the hostage release negotiations?

 

기자) 네. 마이클 헤르조그 주미 이스라엘대사가 19일 미 ‘ABC’ 방송과의 회견에서 많은 인질이 며칠 안에 석방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구체적인 협상 내용을 밝히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r: Yes. Israeli Ambassador to the U.S. Michael Herzog said in an interview with ABC on the 19th that he hoped many hostages would be released in a few days. However, he said he did not want to reveal the details of the negotiations.

진행자) 인질 일부를 석방하는 대가로 전투를 일시 중단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더군요?
It's been said that the host will temporarily stop fighting in exchange for the release of some of the hostages?

기자) 그렇습니다. 헤르조그 대사는 인질 석방을 위해 며칠 동안 전투를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Herzog says he is in talks to stop fighting for days to free the hostages.

진행자) 인질 석방 협상을 카타르가 중재하고 있는데요. 카타르 쪽에서 나온 말이 있습니까?
Host) Qatar is mediating the hostage release negotiations. Do you have any words from the Qatari side?

기자) 네. 카타르 정부는 19일 인질 석방 협상이 진전됐고, 아주 사소한 실무적 문제들만 남았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세부 사항이나 시간표 등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Reporter: Yes. The Qatari government said on the 19th that negotiations on the release of hostages have progressed, and only very minor practical issues remain. However, we did not disclose any details or timetables.

진행자) 이런 가운데 몇몇 아랍 나라 외무장관이 중국 베이징에 모여 이번 사태를 논의했다는 소식이 있군요?
In the meantime, some foreign ministers from Arab countries gathered in Beijing to discuss the situation?

기자) 그렇습니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그리고 인도네시아 외무장관이 베이징에 모여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이번 분쟁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왕 부장은 가자지구 내 인도적 재앙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긴급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앞서 사우디 외무장관은 왕 부장에게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을 막기 위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Foreign ministers of the Palestinian Authority, Egypt, Saudi Arabia, Jordan, and Indonesia gathered in Beijing to discuss the conflict with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At the meeting, Wang stressed the need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t urgently to prevent humanitarian disasters in Gaza. Earlier, the Saudi foreign minister told Wang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take responsibility to prevent Israel.

진행자) 가자지구에서 가장 큰 병원인 알시파 병원이 이스라엘 군에 포위되면서 병원 내 신생아들, 특히 미숙아로 태어난 아이들 생명이 위험하다는 소식이 있었는데요. 이 아이들이 모두 다른 병원으로 이송됐군요?
There was news that the lives of newborns, especially infants born prematurely, were in danger when Al-Sifa, the largest hospital in Gaza, was surrounded by the Israeli military. All of these kids were taken to different hospitals?

기자) 네. 유엔과 팔레스타인 적신월사가 협력해 알시파 병원에 있던 미숙아 31명을 라파국경을 통해 이집트 병원으로 모두 옮겼습니다. 앞서 병원에 전기가 끊긴 탓에 인큐베이터 작동이 중단되면서 미숙아들의 생명이 위험에 빠졌었는데요. 결국 이들 미숙아 중 9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Reporter: Yes. The United Nations and the Palestinian Red Crescent worked together to transfer all 31 premature babies from al-Sifa hospitals to Egyptian hospitals via the Rafa border. Previously, the life of premature infants was in danger as the incubator stopped working due to the power cut off in the hospital. In the end, nine of these premature babies died.

진행자) 지난 주말에는 또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 내 난민촌을 공습해서 논란이 됐죠?
Last weekend, the Israeli military launched another airstrike on a refugee camp in Gaza, right?

기자) 그렇습니다. 이스라엘 군이 가자에서 가장 큰 난민촌인 자발리아에 있는 유엔 학교 2곳을 공습했습니다. 이들 학교는 피난민들을 수용하고 있었는데요. 이 공습으로 8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팔레스타인 보건 당국이 전했습니다. 또 자발리아 난민촌 인근 인도네시아 병원도 공습을 받아 환자를 포함해 12명이 사망했다고 현지 보건 당국이 20일 밝혔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Israeli forces have launched airstrikes on two U.N. schools in Gaza's largest refugee camp, Zabalia. These schools were housing refugees. Palestinian health officials say more than 80 people have been killed in the airstrikes. Local health authorities said on the 20th that an Indonesian hospital near the Jabalia refugee camp was also hit by an airstrike, killing 12 people, including patients.

진행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이스라엘이 유엔 학교를 공습한 것을 강하게 비난했군요?
The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has strongly condemned Israel for its airstrikes on U.N. schools?

기자) 네. 구테흐스 총장은 유엔 학교 2곳이 공격받은 것에 크게 충격을 받았다고 19일 밝혔습니다. 그는 “전투가 격화하면서 팔레스타인 민간인 수십만 명이 유엔 시설들로 대피했다”면서 “유엔 구역은 침범할 수 없는 곳이라는 점을 재확인한다”고 말했습니다.
Reporter: Yes. President Guterres said on the 19th that he was deeply shocked by the attack on two UN schools. "As the fighting intensifies, hundreds of thousands of Palestinian civilians have been evacuated to U.N. facilities," he said. "We reaffirm that the U.N. zone is an inviolable place."

진행자) 그런가 하면 예멘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과 연계된 배를 나포했다는 소식도 있군요?
And then there's news that the Yemeni Houthi rebels have seized an Israeli-linked ship?

기자) 그렇습니다. 이란이 지원하는 후티 반군이 19일 홍해 남부에서 한 화물선을 나포했는데요. 이 화물선은 이스라엘 부호가 세운 회사와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선원 중에 이스라엘 사람은 없다고 하는데요. 후티 반군 측은 이스라엘과 연관된 선박을 계속 나포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Iranian-backed Houthi rebels seized a cargo ship in the southern Red Sea on the 19th. This cargo ship is said to be related to the company established by the wealthy of Israel. But they say there are no Israelis among the crew. Houthi rebels have threatened to continue seizing Israeli-linked vessels.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에서 승리한 하비에르 밀레이(왼쪽) 후보가 19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여동생 카리나와 함께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에서 승리한 하비에르 밀레이(왼쪽) 후보가 19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여동생 카리나와 함께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Javier Milay, left, who won the final round of Argentina's presidential election, is expressing joy with his sister Karina in Buenos Aires on the 19th.

 

진행자) 지구촌 오늘, 다음 소식입니다.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에서 극우 성향 후보가 당선됐다는 소식이네요?
Host) Today, here's the next news. Is it news that a far-right candidate was elected in Argentina's presidential election?

기자) 그렇습니다. 19일 치러진 아르헨티나 대선 결선투표에서 야당인 자유전진연합 하비에르 밀레이 후보가 당선됐습니다. 밀레이 후보는 약 56%를 득표해 44%를 얻은 집권여당 소속 세르히오 마사 후보를 눌렀습니다. 밀레이 당선인은 1차 투표에서는 마사 후보에게 뒤졌는데요. 하지만 결선투표에서 다른 보수세력과 연대해 승리를 거머쥐었습니다. 이제 대통령 당선인이 된 밀레이 후보는 오는 12월 10일 취임합니다.
Reporter: That's right. In Argentina's presidential election runoff held on the 19th, opposition Free Forward Union candidate Javier Milay was elected. Milay won about 56% of the vote, beating Sergio Martha of the ruling party, who won 44%. Milay fell behind Martha in the first round of voting. But they won the runoff election in solidarity with other conservatives. Milay, now president-elect, will take office on December 10th.

진행자) 이번 아르헨티나 대선은 국제사회의 눈길을 끈 선거였죠?
This Argentina presidential election was an election that caught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ight?

기자) 네. 현재 아르헨티나가 극심한 경제 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탓에 누가 새 대통령이 될 것인지가 큰 관심사로 떠올랐는데요, 밀레이 후보는 이전에 보지 못한 과격한 공약을 들고 나오면서 큰 화제가 됐습니다.
Reporter: Yes. As Argentina is currently suffering from a severe economic crisis, who will become the new president has emerged as a big concern, and Milay made a big headlines when he came up with a radical pledge he had never seen before.

진행자) 밀레이 후보가 어떤 공약을 제시했습니까?
Host) What promises did Milay make?

기자) 네. 그는 정부 규모를 대폭 줄이고 페소 대신 미국 달러화를 도입하며, 중앙은행을 폐지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또 사회적으로는 보수적인 정책을 내놨는데요. 학교 내 성교육과 아르헨티나 의회가 지난 2020년 합법화한 낙태 금지, 그리고 자유로운 총기 휴대 합법화 등 공약을 내세웠습니다. 그런가 하면 장기 매매 허용, 보건시스템 민영화, 연금 지출 감축, 외국인 입국 제한, 그리고 주요 무역 상대국인 중국, 그리고 브라질과의 관계 단절 등 공약도 발표한 바 있습니다.
Reporter: Yes. He pledged to drastically reduce the size of the government, introduce US dollars instead of pesos, and abolish the central bank. It also came up with a socially conservative policy. Sex education in schools, the ban on abortion that Argentina's parliament legalized in 2020, and the legalization of free gun portability have been touted. They also pledged to allow long-term trading, privatize the health system, reduce pension spending, restrict foreign entry, and cut tie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China and Brazil.

진행자) 밀레이 당선인 공약을 보면 상당히 과격하고,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에 부합하는 내용들이 많군요?
If you look at Milay's election pledges, there are a lot of things that are quite radical and consistent with "populism."

기자) 그렇습니다. 집권여당의 마사 후보도 바로 그 점을 공략했는데요. 그는 밀레이 당선인의 공약이 보건이나 교육을 포함한 공공서비스와 많은 사람이 의존하는 복지프로그램을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마사 후보는 또 밀레이 당선인의 공격적인 발언을 지적하며 그가 유세장에 종종 쇠톱을 갖고 다니는 것을 들어 밀레이 당선인의 정신건강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The ruling party's candidate Martha also targeted that point. He pointed out that Milay's pledges would threaten public services, including health and education, and welfare programs that many rely on. Martha also pointed to Milay's aggressive remarks and raised questions about Milay's mental health, citing his frequent carrying of a chainsaw on the campaign trail.

진행자) 밀레이 당선인이 쇠톱을 갖고 다닌 이유가 뭡니까?
Host) Why did Milay carry a chainsaw?

기자) 네. 그는 정부 지출을 잘라내겠다는 의미로 쇠톱을 갖고 다녔습니다. 올해 53세인 밀레이 당선인은 경제학자 출신으로 유명한 TV 패널로 활동했고요. 지난 2021년 의회에 진출했습니다.
Reporter: Yes. He carried a chainsaw to cut government spending. Milay, 53, is an economist and a famous TV panelist. We entered the parliament last 2021.

진행자) 과격한 발언이나 공약으로 논란이 많았던 밀레이 후보가 당선된 이유가 뭔가요?
Host) Why did Milay, who was controversial for his radical remarks or pledges, get elected?

기자) 네. 바로 아르헨티나의 심각한 경제 문제 때문입니다. 아르헨티나는 오랫동안 천문학적인 물가 상승 등을 비롯해 경제 문제가 심각했습니다. 특히 집권당의 마사 후보가 경제장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물가가 140%나 폭등하고 빈곤이 심해지는 등 국민들 살기가 더 힘들어졌는데요. 이 때문에 유권자들은 집권당과 유력 야당에 등을 돌리고 과격한 공약을 내세운 밀레이 후보를 선택한 겁니다.
Reporter: Yes. It's because of Argentina's serious economic problems. Argentina has long had serious economic problems, including astronomical inflation. In particular, while Martha of the ruling party served as economy minister, prices soared 140% and poverty worsened, making it harder for the people to live. For this reason, voters chose Milay, who turned his back on the ruling party and the leading opposition party and made radical pledges.

진행자) 밀레이 당선인은 그동안 아르헨티나 정치권에서 완전 비주류였는데요. 기존 주류 정당 후보들이 비주류 후보에 밀린 건가요?
Host) Milay has been a total non-mainstream in Argentine politics. Have existing mainstream party candidates fallen behind non-mainstream candidates?

기자) 그렇습니다. 그간 아르헨티나에서 좌파와 우파 정당들이 여러 차례 집권했는데요. 모두 아르헨티나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기존 좌·우 주류 정당에 실망한 유권자들이 밀레이 후보가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며 그에게 표를 던졌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Left and right-wing parties have come to power several times in Argentina. None of them have solved Argentina's chronic problems. So voters disappointed with the existing left-right mainstream parties voted for Milay, expecting him to solve the problem.

진행자) 밀레이 후보는 승리가 확정된 뒤 무슨 말을 했습니까?
Host) What did Milay say after the victory was confirmed?

기자) 네. 밀레이 당선인은 지지자들에게 “아르헨티나 상황은 급박하고 우리나라는 급격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면서 “여기에는 점진주의나 미온적인 조처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Reporter: Yes. "The situation in Argentina is urgent and our country needs rapid change," Milay told supporters, stressing that "there is no room for gradualism or lukewarm measures here."

진행자) 밀레이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내세운 공약을 실현할 수 있을까요?
Will Milay be able to deliver on his campaign promises?

기자) 네. 많은 전문가는 앞으로 밀레이 당선인이 공약을 실행하는 데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합니다. 현재 아르헨티나가 처해 있는 여건 탓에 그렇다는 건데요. 이런 지적을 의식해서인지 밀레인 당선인 진영에서는 벌써 기존 공약과는 결이 다른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연 밀레이 당선인이 자신의 공약을 앞으로 얼마나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Reporter: Yes. Many experts point out that Milay has a lot of mountains to overcome in carrying out his promises in the future. It's because of Argentina's current conditions. Conscious of this criticism, Milaine's camp is already saying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ledge. So, attention is being paid to how much Milay will be able to keep his promises in the future.

 

지난 15일, 타이완 국민당 주리룬 주석과 허우유이 국민당 후보, 마잉주 전 총통과 커원저 민중당 후보가 총통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고 손을 잡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15일, 타이완 국민당 주리룬 주석과 허우유이 국민당 후보, 마잉주 전 총통과 커원저 민중당 후보가 총통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고 손을 잡고 있다. (자료사진)
On the 15th, Taiwan Kuomintang President Ju Ri-run, Kuomintang candidate Hu Yu-yi, former President Ma Ying-jeou, and People's Party candidate Ku Won-jeo agreed to unify the presidential candidate. (Source Photo)

 

진행자) 지구촌 오늘, 한 가지 소식 더 보겠습니다. 지난주 타이완 야권이 총통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다시 분열음이 나오고 있다고요?
And today, we're going to have one more news. Last week, I told you that the Taiwanese opposition agreed to unify the presidential candidate. But the sound of division is coming out again?

 

기자) 네. 지난 15일, 타이완 제1 야당인 국민당과 제2야당인 타이완민중당이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전격 발표했는데요. 하지만 후보 등록 첫날인 20일까지도 누구를 총통 후보로 추대할지 결정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타이완 총통 선거는 내년 1월 13일에 열립니다.
Reporter: Yes. On the 15th, Taiwan's main opposition Kuomintang and the second opposition Taiwan Democratic People's Party announced that they had agreed to unify the candidates. However, it is struggling because it has not been decided who to nominate as the presidential candidate until the 20th, the first day of candidate registration. Taiwan's presidential election will be held on January 13 next year.

 

진행자) 원래는 지난 주말에 후보를 발표하겠다고 했었죠?
Host) Originally, you said you would announce the candidates last weekend, right?

 

기자) 맞습니다. 국민당과 민중당은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면서 최종적인 총통 후보와 부총통 후보는 18일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선정 기준은 7일부터 17일까지의 여러 여론 조사를 기반으로 해서, 국민당 허우유이 후보와 민중당 커원저 후보 가운데 더 많은 표를 얻은 후보를 총통 후보로 세우기로 한 건데요. 하지만 아직까지 후보 발표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The People's Party and the People's Party agreed to unify the candidates, and announced on the 18th that the final presidential and vice presidential candidates would be announced. Based on various opinion polls from the 7th to the 17th, the selection criteria was to appoint a candidate with more votes among the Kuomintang candidate Heo Woo-yui and the People's Party candidate Ke Won-jeo as the presidential candidate. However, no candidate has been announced yet.

 

진행자) 다시 이견이 생긴 건가요?
Host) Is there a disagreement again?

 

기자) 그렇습니다. 여론 조사의 오차범위를 해석하는 데 있어 양당에 인식 차가 존재했습니다. 타이완 매체에 따르면, 국민당은 오차범위를 ±3%P까지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중당은 ±1.5%P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합의가 결렬됐습니다. 민중당 측은 ±3%P를 받아들이면, 오차범위가 최대 6%P가 되기 때문에 무리가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parties in interpreting the margin of error in the polls. According to Taiwanese media, the agreement broke down with the Kuomintang saying the margin of error should be recognized as ±3 percentage points, while the People's Party insisted it be viewed as ±1.5 percentage points. The People's Party protested that if ±3%P is accepted, the error range will be up to 6%P, so it is unreasonable.

 

진행자) 여론 조사 결과는 어떻게 나왔습니까?
Host) What are the results of the poll?

 

기자) 각종 여론 조사를 분석한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대부분 타이완 매체는 허우유이 국민당 후보가 총통 후보가 되고, 민중당의 커원저 후보가 부총통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습니다.
Reporter) No specific information was released on ho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ous polls were released. However, most Taiwanese media predicted that Heo Woo-yu, candidate of the People's Party, would be the presidential candidate, and Ku Won-jeo of the People's Party would be the vice presidential candidate.

 

진행자) 민중당이 제2야당이긴 하지만 의석수에서 보면 국민당에 크게 밀리죠?
The People's Party is the second opposition party, but in terms of the number of seats, it is far behind the People's Party, right?

 

기자) 맞습니다. 타이완 입법회는 총 113석인데요.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국민당이 38석, 민중당이 5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두 정당이 총통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며, 내년 총통 선거 판세를 뒤흔들 만한 발표를 내놨던 겁니다.
[Reporter] That's right. The Taiwan Legislative Council has a total of 113 seats. According to Reuters, the Kuomintang has 38 seats and the People's Party has five seats. In the midst of this, the two parties said they agreed to unify the presidential candidate, and made an announcement that would shake the presidential election next year.

 

진행자) 민중당의 커원저 후보는 지금의 상황에 대해 뭐라고 말하고 있습니까?
Host) What does Ku Won-jeo of the People's Party have to sa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기자) 커원저 후보는 여론 조사 결과에 맞서지도, 그렇다고 자신의 지지자들을 포기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단합할 수 있는 모든 세력을 모으기 위해 노력겠다며 막판 타협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는데요. 하지만 자신은 끝까지 타이완 총통 후보로서 싸우겠다며 총통 후보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Reporter Kewonzer said he would neither stand up to the polls nor give up his supporters. He di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a last-minute compromise, saying he would try to gather all the forces that can unite. However, he expressed his strong will to become the presidential candidate, saying that he would fight as a candidate for Taiwan's president until the end.

 

진행자) 집권당인 민진당은 일찌감치 후보가 결정됐죠?
Host)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the ruling party, was chosen early, right?

 

기자) 그렇습니다. 민진당은 지난 4월, 라이칭더 부총통을 총통 후보로 결정했습니다. 차이잉원 현 총통은 지난 2016년 취임해 2020년 재집권에 성공했는데요. 총통과 부총통의 임기는 4년이며, 한차례 연임할 수 있다는 타이완 헌법에 따라 내년 총통 선거에 다시 나설 수 없습니다.
Reporter: That's right. In April,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decided Vice President Leichtinger as its presidential candidate. Current President Tsai Ing-wen took office in 2016 and succeeded in returning to power in 2020. The terms of the Presidency and Vice Presidency are four years, and under the Taiwan Constitution, which allows them to serve a second term, they cannot run again in next year's presidential election.

 

진행자) 후보 등록 마감은 언제까지인가요?
When is the deadline for candidate registration?

 

기자) 네. 총통과 부총통 후보 등록 마감은 오는 24일까지입니다. 한편 라이칭더 후보는 20일, 러닝메이트로 샤오메이친 주미타이베이경제문화대표처(TECRO) 대표를 부총통 후보로 지명했는데요. TECRO는 미국에서 사실상 타이완 대사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샤오 대표는 부총통 후보 지명을 받고 이날(20일)부로 대표직을 사임했습니다.
Reporter: Yes. The deadline for registration of presidential and vice presidential candidates is until the 24th. Meanwhile, on the 20th, Lai Ching-der nominated Xiao Mei-chin, head of the Taipei Economic and Cultural Representative Office (TECRO), as his running mate, as a vice presidential candidate. TECRO effectively serves as the embassy of Taiwan in the United States. CEO Xiao resigned from his position on this day (20th) after receiving the nomination for vice president.

진행자) 지구촌 오늘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So that's it for today.

Forum
Forum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