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한국대사, 북러 무기거래 거론하며 “안보리 개혁 필요…비상임이사국만 늘려야”
U.N. Ambassador to South Korea mentioned the arms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saying, "Security Council reform is needed...Only non-permanent membership should be increased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함지하 작성일 23-11-17 08:00 댓글 0본문

황준국 유엔주재 한국 대사
South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Hwang Joon-guk
유엔주재 한국 대사가 안보리 개혁 필요성의 근거로 북한과 러시아 문제를 지목했습니다. 한국은 비상임이사국의 확대만을 촉구한 반면 미국은 상임이사국을 포함한 이사국 전체의 확대를 주장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South Korea'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has pointed to North Korea and Russia as the basis for the need to reform the Security Council. While South Korea only called for the expansion of non-permanent members, the U.S. insisted on the expansion of all member states, including permanent members. Reporter Ham Ji-ha reports.
황준국 유엔주재 한국 대사는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거래 문제를 지적하며 유엔 안보리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South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Hwang Jun-guk emphasized the need to reform the U.N. Security Council, pointing to the issue of arms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황 대사는 16일 ‘유엔 안보리 개혁’을 주제로 열린 유엔총회 회의에서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상임이사국이 다른 주권 국가를 침공해 전쟁을 벌이고, 수년 동안 안보리 결의를 노골적이고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정권으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지원받는 모순적인 상황에 이르렀다”고 지적했습니다.
"As President Yoon Suk Yeol (Korea) mentioned in his speech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we have reached a contradictory situation where permanent members invade other sovereign countries and wage war, and receive weapons and ammunition from regimes that blatantly and consistently violate UNSC resolutions for years," Ambassador Hwang said at the UN General Assembly meeting on the 16th.
[녹취: 황준국 대사] “As my President Yoon Suk Yeol mentioned in his speech at this General Assembly last September, we have reached a paradoxical point where a permanent member is waging war by invading another sovereign nation and receiving arms and ammunition from a regime that blatantly and persistently violate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ver many years. We have seen enough of how things can go wrong with a system of permanent or ‘forever’ membership.”
[Record: Hwang Junguk's line]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이번 총회 연설에서 언급했듯이 상임이사국이 다른 주권국을 침략하고 노골적이고 집요하게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정권으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공급받아 전쟁을 벌이는 역설적인 상황에 이르렀다. 상임이사국이나 forever이사국 체제가 어떻게 잘못될 수 있는지 우리는 충분히 보았습니다
이어 “우리는 영구적인 혹은 영원한 이사국 체계가 어떻게 잘못될 수 있는지 충분히 봐왔다”며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함께 안보리 결의를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북한을 동시에 겨냥했습니다.
"We have seen enough of how a permanent or permanent member system could go wrong," he said, simultaneously targeting North Korea, which continues to violate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with Russia,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앞서 미국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가 탄약 등 무기거래를 하고 있다며 관련 정황이 담긴 위성사진 자료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Previously, the U.S. government released satellite photo data containing related circumstances, saying that North Korea and Russia are trading weapons such as ammunition.
북한과의 무기거래는 안보리 대북 결의에 대한 위반인데,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이를 정면으로 위반하자 최근 들어 안보리 체계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Arms trade with North Korea is a violation of the Security Council's resolu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as Russia, a permanent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has violated them head-on, there have been growing calls for changes to the Security Council system in recent years.
이날 황 대사는 상임이사국을 현재의 5개국 체제로 유지한 채 비상임이사국 수만 늘리자는 게 한국의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On this day, Ambassador Hwang said that Korea's position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non-permanent member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five-member system.
[녹취: 황준국 대사] “The ROK’s bottom line on Security Council reform is that we cannot accept any expansion of permanent membership, with or without veto power. Yet, we support the enlargement of elected membership to a reasonable and manageable size, reflecting the increase in the UN membership by 80 countries since 1963. An increase in only the elected, non-permanent members has been our consistent position over the last 30 years, and we’re even more convinced now than we were before.”
[Record: Hwang Junguk's line] "안보리 개혁에 대한 한국의 결론은 거부권이 있건 없건 간에 상임이사국의 확대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1963년 이래 80개국의 유엔 회원국 증가를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관리 가능한 규모로 선출된 회원국의 확대를 지지합니다. 선출된 비상임이사국의 증가만이 지난 30년 동안 우리의 일관된 입장이었고, 우리는 이전보다 지금 더 확신합니다."
“안보리 개혁에 대한 한국의 기본 입장은 거부권 유무와 관계없이 상임이사국 확대는 수용할 수 없지만, 1963년 이래 유엔 회원국이 80개국 더 증가한 점을 반영해 선출 방식의 (비상임) 이사국을 합리적이고 관리 가능한 규모로 확대하는 것은 지지한다”는 설명입니다.
Korea's basic position on Security Council reform is that it cannot accept the expansion of permanent members regardless of veto power, but we support expanding the number of non-permanent members to a reasonable and manageable scale, reflecting the increase in 80 more UN members since 1963.
그러면서 “선출직 비상임이사국만을 늘리는 것이 지난 30년간 우리의 일관된 입장이고, 지금은 이를 더 확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He added, "It has been our consistent position over the past 30 years to increase only the non-permanent membership in elected positions, and now we are more confident in this."
이날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들도 안보리 개혁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On this day,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lso expressed their support for reform of the Security Council.
다만 미국은 한국과는 다른 방식의 개혁을 지지한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However, the United States has indicated that it supports reform in a different way than Korea.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작년 총회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비상임이사국을 모두 확대하고,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 카리브해 국가에 상임이사국을 배정하는 방안을 포함한 개혁 방식에 전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고 말했습니다.
"At last year's General Assembly, President Biden announced that the United States was committed to reform measures, including expanding both permanent and non-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allocating permanent members to African,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countries," said Linda Thomas-Greenfield, the U.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녹취: 토머스-그린필드 대사] “As you know, at the General Assembly last year, President Biden announced that the United States was committed to reform, including the expansion of both permanent and non-permanent seats on the Security Council, with permanent seats for countries in Africa and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Since then, the President has reaffirmed this commitment, including in his speech to the General Assembly just this past September. Because he recognizes – as so many of us do – that the Council, as it is constituted today, doesn’t represent the realities of today.”
[Record: Thomas-Greenfield line] "여러분도 알다시피, 작년 총회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에 있는 국가들을 위해 상임이사국과 비상임이사국의 확대를 포함한 개혁에 전념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이후로, 대통령은 지난 9월 총회 연설을 포함하여 이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고 있지만, 오늘날 그것이 구성된 것처럼 이사회가 오늘날의 현실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 “그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월 유엔총회 연설 등을 통해 이러한 약속을 재확인했다”며 “이는 우리 모두와 마찬가지로 바이든 대통령도 현재 구성된 안보리가 오늘날의 현실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Since then, President Biden has reaffirmed this commitment through a speech to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he said, adding, "This is because, like all of us, President Biden understands that the current Security Council does not represent today's reality."
이시카네 기미히로 유엔주재 일본 대사는 “우리는 모두 오늘날 가장 시급한 문제인 우크라이나와 중동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안보리의 도전을 목격했다”며 “이런 상황은 대표성을 높이고 21세기의 현실을 반영하는 안보리를 만들려는 우리의 개혁 의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We have all seen the challenge of the Security Council, which is not meeting the international expectations of the most urgent issue today, the situation in Ukraine and the Middle East," said Japan'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Kimihiro Ishikane. "This situation will further strengthen our commitment to reform to increase representation and create a Security Council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the 21st century."
[녹취: 이시카네 대사] “We have all witnessed the challenges Council is facing not being abl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some of the most pressing issues of our day – the situations in Ukraine and the Middle East. This should only strengthen our will for reform, for creating a Council which is more representative and reflects the reality of the 21st century. Looking ahead to next year's Summit of the Future and the subsequent 80th anniversary of the UN, we must make our best effort to move toward concrete action.”
[Green leaf: Ishikane line] "우리 모두는 안보리가 당면한 도전들이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문제들, 즉 우크라이나와 중동의 상황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이것은 더 대표적이고 21세기의 현실을 반영하는 이사회를 만들기 위한 우리의 개혁 의지를 강화할 뿐입니다. 내년 미래의 정상회담과 그에 이은 유엔의 80주년을 앞두고, 우리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내년 미래 정상회의와 이후 유엔 창설 80주년을 앞두고 우리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아가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efore next year's future summit and the 8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we must do our best to move forward with concrete actions," he said.
이날 장쥔 유엔주재 중국 대사도 “개혁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On the same day, Chinese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Zhang Jun, also said, "Reform must go in the right direction."
특히 “안보리는 집단 안보 메커니즘의 핵심”이라며 “안보리는 국제 정치의 현실과 미래의 추세를 반영해야 하고, 다극화와 민주주의, 국제관계, 남반구의 집단적 부상이라는 세계의 역사적 추세를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The Security Council is at the heart of the collective security mechanism," he said. "It must reflect the reality and future trend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embody the world's historical trends of multipolarization, democrac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collective rise of the southern hemisphere."
[녹취: 장쥔 대사] “The reform must follow the right direction. The Security Council is the core of the collective security mechanism. It must reflect reality and future trend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must embody the world's historical trends of multipolarity, democra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collective rise of the global South. The only right direction for Security Council reform i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representation and voice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the common aspiration of the vast majority of Member States. Any reform deviating from this direction is unacceptable.”
[Record: Jang Jun's line] "개혁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안보리는 집단적 안보체제의 핵심입니다. 현실과 미래 국제정치의 흐름을 반영하고 다극화, 민주주의와 국제관계, 세계남방의 집단적 부상이라는 세계의 역사적 흐름을 구체화해야 합니다. 안보리 개혁의 유일한 올바른 방향은 회원국 대다수의 공통된 열망인 개발도상국의 대표성과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입니다. 그 어떤 개혁도 이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이어 “안보리 개혁의 유일하고 올바른 방향은 개발도상국의 대표성과 발언권을 효과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라며 “이는 대다수 유엔 회원국의 공통된 열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The only and right direction for Security Council reform is to effectively expand the representation and voice of developing countries," he said, stressing that "this is the common aspiration of most UN member states."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VA news is VA News Agency.
Forum
Forum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