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가지리정보국 “북한 검덕광산, 자원 풍부하지만 ‘개발’ 제대로 안돼” > 경제

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 국가지리정보국 “북한 검덕광산, 자원 풍부하지만 ‘개발’ 제대로 안돼”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Administration says North Korea's Geomdeok Mine is rich in resources but 'development' is not working properly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박승혁 작성일 22-08-19 02:30 댓글 0

본문

미 국방부 산하 국가지리정보국(NGA)에 실린 북한 검덕 광산 인근 위성 사진.

 미 국방부 산하 국가지리정보국(NGA)에 실린 북한 검덕 광산 인근 위성 사진.
Satellite images of North Korea's Gumdeok mine were published in the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NGA) under the Pentagon.

 

광물이 풍부한 북한 검덕지구 개발 계획이 ‘공허한 약속’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 국가지리정보국이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필수 인프라에 대한 투자 대신 ‘보여주기’식 건설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박승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The U.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Administration says the mineral-rich Geomdeok District development plan is likely to degenerate into an "empty promise." It is pointed out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focusing only on "show" construction instead of investing in essential infrastructure. Reporter Park Seung-hyuk reports.

미 국방부 산하 국가지리정보국(NGA)는 15일 발행한 ‘북한 검덕 광산: 공허한 약속?’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북한 함경남도 검덕의 광산지구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In a report titled "North Korea Gumdeok Mine: Empty Promise?" published on the 15th, the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NGA) under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said that the mining district in Gumdeok, South Hamgyong Province, North Korea, is not being developed properly despite its potential.

함경남도 북부에 위치한 이 광산지구는 검덕, 룡양, 대흥 등 50여개 광산이 밀집해 있는 북한 최대의 광산 지역입니다.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Hamgyong Province, the mining district is North Korea's largest mining area, home to more than 50 mines, including Geomdeok, Ryongyang and Daeheung.

보고서에 따르면 이 일대는 납, 은, 마그네사이트 등이 풍부하며 특히 아연의 경우 매장량이 동아시아 최대 규모인 2억6천600만t으로 추정됩니다.
According to the report, the area is rich in lead, silver, and magnesium, especially zinc, with an estimated 266 million tons of reserves, the largest in East Asia.

[미 국가지리정보국 보고서] “North Korea has the capacity to be one of the leading producers of zinc in the world. Zinc has a wide range of uses… making it a valuable commodity.”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report]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주요한 아연 생산국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연은 광범위한 용도를 가지고 있어 가치 있는 상품입니다."

보고서는 아연은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어 가치 있는 원자재이며, 북한은 세계 최대 아연 생산국 중 하나가 될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The report said zinc is a valuable raw material because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and North Korea has the capacity to become one of the world's largest zinc producers.

실제로 지난 2020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태풍 마이삭으로 수해를 입은 검덕지구를 시찰하면서 이곳을 “삼지연시 다음가는 국가적인 본보기 산간도시로 훌륭히 전변시키겠다”며 복구 사업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In fact, in 2020,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Kim Jong-un visited Geomdeok District, which was damaged by Typhoon Maisak, and ordered the restoration project, saying, "We will transform it into a national example mountainous city after Samjiyeon City."

그러나 2년에 걸친 검덕지구 복구사업이 주택 건설 등에 초점이 맞춰졌을 뿐, 검덕지구를 실질적으로 발전시킬 광산과 도로, 철길 같은 광산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지적입니다.
However, the report points out that the two-year project to restore Geomdeok district has focused on housing construction, and investment in mining infrastructure such as mines, roads and railroads that will actually develop the Geomdeok district is not noticeable.

[미 국가지리정보국 보고서] “But actual investment in the mines themselves and their supporting infrastructure such as new roads or rail lines—efforts to truly improve Komdok—were not evident.”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Report] "그러나 광산에 대한 실제 투자와 새로운 도로나 철도 노선과 같은 지원 기반 시설, 즉 콤독을 진정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은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보고서는 해당 지역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김정은 위원장이 지시한 ‘산간도시’를 완성하기 위해 북한 당국이 아파트 등 주택 시설을 빠른 속도로 지어갔다고 설명했습니다.
Based on satellite images of the region, the report explained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quickly built apartments and other housing facilities to complete the "mountain city" ordered by Chairman Kim Jong-un.

그러나 오랜 난개발로 홍수에 취약한 이 지역에 반드시 필요한 수해 대비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But he said he wondered if the flood-prone area was properly equipped with the necessary flood control facilities.

[미 국가지리정보국 보고서] “However, less than a year later, following the spring rainy season, standing water was observed in the streets, portending the risk of future flooding in the face of severe storms. Despite this, further housing units continue to be added to this area with no visible mitigation efforts being put in place.”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report] "하지만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봄 장마에 이어 길거리에서 고인 물이 관측되었고, 이는 심한 폭풍에 직면하여 향후 홍수의 위험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완화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 지역에 추가 주택이 계속 추가되고 있습니다."

태풍 마이삭이 휩쓸고 지나간 지 불과 1년도 안 된 이듬해인 2021년 봄에 벌써 도로에 물이 넘치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이는 강한 태풍이 올 경우 수해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진단입니다.
In the spring of 2021, less than a year after Typhoon Maisak swept away, the road has already been seen overflowing,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flood damage in the event of a strong typhoon.

또 가시적인 수해 대비책 없이 신규 주택 단지가 계속 추가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It also added that new housing complexes continue to be added without any visible flood preparedness.

보고서는 이에 따라 북한이 정말 검덕지구의 부흥에 진지한 것인지 반문하면서, 이 일대 광산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As a result, the report asked whether North Korea is really serious about the revival of the Gumdeok district, pointing out that more investment is needed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the mines in the area.

[미 국가지리정보국 보고서] “While the Komdok region holds enormous resources and earning potential for the country, the terrain and way the region has been developed make flood prevention and storm damage an unavoidable reality without serious investment in engineering, infrastructure, and equipment.”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report] "콤독 지역은 막대한 자원을 보유하고 국가에 잠재력을 창출하고 있지만, 이 지역이 발전한 지형과 방식은 엔지니어링, 인프라 및 장비에 대한 심각한 투자 없이 홍수 방지와 폭풍 피해를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만듭니다."

검덕지구의 지형과 과거 개발 형태를 고려하면 개발과 인프라, 장비 등에 진지한 투자 없이는 수해 대비책과 태풍 피해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입니다.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past development forms of Geomdeok District, flood control measures and typhoon damage are inevitable without serious investment in development, infrastructure, and equipment.

보고서는 현재 북한이 대규모 국가 개발 사업을 꼼꼼히 추진할 상황이 안 될 뿐더러, 고질적인 전력 부족으로 제대로 공사를 하기조차 어려워 결국 검덕지구 개발은 ‘공허한 약속’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습니다.
The report concluded that North Korea is not in a situation to carry out large-scal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carefully, and that the development of Gumdeok District is likely to end with an "empty promi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ven properly construct due to chronic power shortages.

[미 국가지리정보국 보고서] “While changes to the energy infrastructure would be a key indicator of a commitment to increase operational capa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ners and their families, imagery taken over the last decade reveals few developments in this area.”
[National Geographic Intelligence Agency Report]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변화가 운영 능력을 높이고 광부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약속의 핵심 지표가 되겠지만, 지난 10년 동안 촬영된 이미지는 이 지역의 발전을 거의 보여주지 않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해당 지역에 에너지 공급 인프라의 변화가 생긴다면 검덕의 운영 역량 증가와 함께 광부 가족들 삶의 질 개선 등에 북한이 정말 전념한다는 지표로 볼 수 있지만, 지난 10년 간 촬영한 위성사진을 토대로 봤을 때 이 분야에선 거의 발전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The report also said that if there is a change in the energy supply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it can be seen as an indicator of North Korea's commitment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miners' families, but based on satellite images taken over the past 10 years, there has been little progress in this field.

VOA 뉴스 박승혁입니다.
I'm Park Seunghyuk of VOA News.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