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한국,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되려면 북한 인권 침묵 말아야" > 사회

본문 바로가기

사회

미 전문가들 "한국,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되려면 북한 인권 침묵 말아야"
U.S. experts say, "South Korea should not remain silent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o become a non-executive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백성원 작성일 21-11-30 06:00 댓글 0

본문

지난 2017년 11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안보리 회의에서 자이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지난 2017년 11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안보리 회의에서 자이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Zayed al-Hussey, the top human rights representative of the United Nations, speaks at a security council meeting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eld at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in November 2017.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다시 진출하려면 북한에서 벌어지는 인권 유린에 눈감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한국의 접근법이 국제사회의 대응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백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South Korea should not overlook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in order to re-enter the UN Security Council's non-executive membership. Concerns are rising that South Korea's approach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s at odds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sponse. Reporter Baek Sung-won reports.

워싱턴의 인권 전문가들은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선 북한 정권의 인권 침해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합니다.
Human rights experts in Washington call for South Korea to respond more actively to human rights violations by the North Korean regime in order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international stage.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세 번째 도전하는 한국이 정권에 따라 북한 인권 문제에 다른 목소리를 내는 국가로 인식돼선 안 된다는 지적입니다.
Critics point out that South Korea, the third non-executive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 country that speaks out differently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depending on the regime.

그레그 스칼라튜 북한인권위원회(HRNK) 사무총장은 29일 VOA와의 전화 통화에서 “한국이 북한의 지독한 인권 침해를 계속 무시하면서 어떻게 지도적 위치에 오르고,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In a telephone conversation with VOA on the 29th, North Korean Human Rights Commission Secretary Greg Scaratu asked back, "How can South Korea continue to ignore North Korea's terribl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nter the UN Security Council's non-executive board?"

[녹취: 그레그 스칼라튜 HRNK 사무총장] “How can South Korea be in a position of leadership? How can South Korea join the UN Security Council as a non permanent member, while its government continues to ignore the egregious human rights violations being perpetrated in North Korea?”
[Recording: Greg Scalatu, Secretary General of HRNK] HRNK"한국이 어떻게 리더십의 위치에 있을 수 있습니까? 정부는 북한에서 자행되고 있는 터무니없는 인권침해를 계속 무시하고 있는데 어떻게 한국이 비상임이사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가입할 수 있겠어요?"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월 21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국이 202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President Moon Jae In said in a keynote speech at the U.N. General Assembly on September 21 that South Korea will enter the U.N. Security Council's non-executive board of directors in 2024.

[녹취: 문재인 대통령] “한국은 오는 2024∼2025년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하여 지속 가능한 평화와 미래세대의 번영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해나가고자 합니다. 각국의 협조와 지지를 기대합니다.”
[Recording: President Moon Jae In] "Korea wants to play an active role in sustainable peace and prosperity for future generations by advancing to the non-executive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from 2024 to 2025. We look forward to your cooperation and support."

당시 문 대통령은 “최근 아프가니스탄 상황은 평화와 인권을 위한 유엔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증명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북한 인권 문제를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President Moon said, "The recent situation in Afghanistan proves how important the UN's role in peace and human rights is," but did not mention the issu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한국이 비상임이사국에 다시 진출하면 1996~97년, 2013~14년에 이어 세 번째가 됩니다. 안보리는 5개의 상임이사국과 10개의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됐으며,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은 매년 절반을 교체합니다.
If Korea re-enters the non-permanent country, it will be the third time since 1996-97 and 2013-14. The Security Council consists of five permanent members and ten non-permanent members, and half of the two-year non-permanent members replace them every year.

하지만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한국이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이 되기를 바라는데, 국제평화·안보와 인권 존중 사이의 관계를 인정하고 그런 관계를 증진해야 세계 평화에 더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However, Robert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stressed, "I hope Korea will become a non-executive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and we ne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peace, securi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to contribute more to world peace."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 “South Korea, moreover, is hoping to become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It would make more of a contribution to world peace if it were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promote that connection.”
[Roberta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더구나 한국은 안보리 이사국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국제 평화와 안보, 인권 존중의 관계를 인정하고 그 관계를 증진시킨다면 세계 평화에 더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실제로 북한 인권 문제가 처음 안보리의 정식 안건으로 채택된 것도 한국이 비상임이사국을 수임하고 있던 2014년 12월이었습니다.
In fact, it was in December 2014 when South Korea was taking over a non-executive member state that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as first adopted as an official agenda of the Security Council.

당시 오준 유엔주재 한국대사는 유엔 연설에서 “한국인들에게 북한 주민들은 그냥 아무나(anybodies)가 아니다”라며 “비록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는 없지만, 우리는 겨우 수백 km 떨어진 곳에 우리의 동포가 있다는 걸 안다”고 말해 크게 주목받았습니다.
The then U.N. Ambassador to South Korea Oh Joon drew keen attention in a speech to the U.N., saying, "North Koreans are not just any bodies," adding, "Although we can't hear their voices directly, we know there are our compatriots only hundreds of kilometers away."

전문가들의 비판은 문재인 정부가 이런 전례에 선을 긋고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적 우려와 엇박자를 내왔다는데 맞춰져 있습니다.
Experts' criticism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Moon Jae In government has drawn a line on these precedents and has been at odds with international concerns about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코헨 전 부차관보는 한국 정부가 올해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 제안국에 참여하지 않은 것을 상기시키며 “진전이 이뤄지려면 평화와 안보 추구 과정에서 인권이 배제돼야 한다는 생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습니다.
Former Vice Minister Cohen recall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participate in the joint proposal of the U.N. human rights resolution this year, and criticized, "It seems to be due to the idea that human right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pursuit of peace and security."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 “South Korea's non-sponsorship of the resolution seems to be based on the idea that human rights has to be delinked from the pursuit of peace and security if progress is to be made. Yet the whole purpose of the United Nations is to bring those issues together. ”
[Roberta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한국이 결의안을 지지하지 않는 것은 진전이 이루어지려면 인권은 평화와 안전의 추구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유엔의 전체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하나로 모으는 것입니다. ”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북한과 함께 일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북한의 지독한 인권 유린 행위를 덮을 필요는 없다”며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인권 정책에 대해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Robert King, a former North Korean special envoy to the State Department, said, "I can work with North Korea, but that doesn't mean we need to cover up North Korea's terrible human rights abuses," adding, "I'm sorry" abou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assive human rights policy.

[녹취: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I think it's unfortunate because I think one can also work with North Korea, but at the same time, you don't have to cover up the human rights abuses that are particularly egregious in North Korea.”
[Recording: Robert King, former State Department'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북한과 협력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안타까운 일이지만, 동시에 북한에서 특히 터무니없는 인권 유린 행위를 덮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이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 제안국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 데 대해서도 “불행히도 이것은 북한에 대한 한국의 태도 변화를 반영한다”며 “내가 북한인권특사를 지낼 당시 한국은 유엔총회와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의 주요 제안국 중 하나였다”고 말했습니다.
"Unfortunately, this reflects the change in South Korea's attitude toward North Korea," he said, "When I served as the special envoy on North Korea, South Korea was one of the main proponents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at the UN General Assembly and the UN Human Rights Council."

[녹취: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This unfortunately reflects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South Korea's attitude towards North Korea. When I was a special envoy, it was a different time. South Korea was one of the leading sponsors of the resolution both in New York at the General Assembly and in Geneva at the UN Human Rights Council.”
[Recording: Robert King, former State Department's special envoy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불행히도 이것은 북한에 대한 한국의 태도에 일어난 변화를 반영합니다. 제가 특사였을 때는 그때가 달랐습니다. 한국은 뉴욕 총회와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결의안의 주요 후원국 중 하나였습니다."

앞서 유엔 총회 제3위원회는 지난 1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표결 없이 컨센서스(전원 동의) 방식으로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결의안은 다음달 유엔 총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입니다.
Earlier on the 17th, the 3rd Committee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opted a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through consensus (all consent) without a vote at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The resolution will be presented to the plenary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next month.

2008년부터 11년 연속으로 결의안 공동 제안국에 이름을 올렸던 한국은 2019년부터 3년 연속 공동 제안국에는 불참하고 컨센서스에만 참여하고 있습니다.
South Korea, which has been listed as a joint proposal country for 11 consecutive years since 2008, has been absent from the joint proposal country for 3 consecutive years since 2019 and has only participated in the consensus.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한국은 한때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과 함께 유엔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중대 조치를 취한 국가들 중 하나였다”며 “한국은 이런 우위를 완전히 포기했고, 문재인 정부는 희망 사항과 소위 대북 관여의 제단에 북한 인권을 희생했다”고 비판했습니다.
"South Korea,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the European Union (EU), Australia, New Zealand, and Canada, was once one of the countries that took critical measures against North Korean human rights," Secretary-General Scalatu said.

[녹취: 그레그 스칼라튜 HRNK 사무총장] “South Korea used to be a member of the coalition of like-minded UN member states that pushed for significant action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We remember who those members were: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Japan, the European Union, Australia, New Zealand, Canada and others. South Korea has completely given up the high ground it once held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The government of President Moon Jae-in has sacrificed North Korean human rights on the altar of wishful thinking, and so called engagements with the North Korean leadership.”
[Recording: Greg Scalatu, Secretary General of HRNK] HRNK"한국은 북한 인권에 대한 중대한 조치를 추진했던 유엔 회원국 연합의 일원이었습니다. 우리는 미국, 한국, 일본, 유럽연합,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 그 회원국이 누구였는지 기억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북한 인권에 대한 높은 지위는 완전히 포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정부는 희망사항의 제단에서 북한 인권을 희생했고, 북한 지도부에 대한 포용이라고 불렀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가 북한 정권의 반인륜 범죄를 외면하고 지독한 인권 침해를 완전히 무시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안타깝고 실망스럽다”며 “이는 정말 비극”이라고 우려했습니다.
He also said, "It is very unfortunate and disappointing to se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urning a blind eye to the North Korean regime's crimes against humanity and completely ignoring terrible human rights violations."

[녹취: 그레그 스칼라튜 HRNK 사무총장] “It is truly saddening and disheartening to see how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chosen to ignore the crimes against humanity committed by the Kim regime in North Korea. It is truly tragic. Sad to see how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is completely ignoring the egregious human rights violations being perpetrated by the Kim regime.”
[Recording: Greg Scalatu, Secretary General of HRNK] 북한에서 일어난 반인륜적 범죄를 남한 정부가 어떻게 외면하고 있는지 참으로 안타깝고 실망스럽습니다. 정말 비극적이에요. 한국 정부가 김정은 정권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말도 안 되는 인권침해를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슬픈 일입니다."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한국의 북한결의안 공동제안국 불참을 “유감스럽고 매우 정치적인 반응”으로 평가하면서 “이는 북한이 불쾌해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표출한 것이지만, 다른 국가들은 유엔과 유럽연합(EU)에서 그런 두려움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Robert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evaluated South Korea's absence from the joint North Korean resolution as a "regretful and very political response," pointing out, "This expresses fear of North Korea's displeasure, but other countries do not share that fear with the United Nations and the European Union."

[녹취: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 “South Korea's non sponsorship of the resolution is unfortunate. It is a highly political response. It's basically expressing fear of North Korea's being displeased, if they were to co sponsor the text as they used to do. And this fear of North Korean displeasure is not shared by other states at the United Nations, the European Union, drafted and introduced the text.”
[Recording: Robert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한국이 결의안을 지지하지 않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이것은 매우 정치적인 반응입니다. 예전처럼 본문을 공동 후원한다면 기본적으로 북한이 불쾌해할 것을 우려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북한의 불쾌감에 대한 이러한 두려움은 본문의 초안을 작성하고 소개한 유엔의 다른 국가들, 즉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호주 등이 모두 공동 제안국에 이름을 올렸는데, 유독 한국만 북한에 겁을 먹고, 인권 우려를 일축하면 북한이 비핵화와 평화협정을 협상할 것이라고 믿는다”는 비판입니다.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have all been listed as co-proposals, and I believe that if only South Korea is scared of North Korea and dismisses human rights concerns, North Korea will negotiate a denuclearization and peace agreement."

[녹취: 로버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 “The United States is a co-sponsor, Japan is a co-sponsor, Australia is a co-sponsor and various other states. So South Korea really stands out in my mind as a state being intimidated by North Korea and believing that if human rights are dismissed as an issue of concern that North Korea will therefore negotiate a denuclearization and peace agreement. That linkage is South Korea's view. And so far there's no evidence to support that.”
[Recording: Robert Cohen, former Deputy Secretary of State for Human Rights] "미국은 공동 스폰서, 일본은 공동 스폰서, 호주는 공동 스폰서 및 기타 여러 주입니다. 그래서 저는 북한에게 겁을 먹고 인권이 무시되면 북한이 비핵화와 평화협정을 협상할 것이라고 믿고 있는 한국이 정말 눈에 띕니다. 그 연결고리는 한국의 견해입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그것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습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18일 한국 언론에 “북한 주민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유엔 등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결의안 컨센서스(전원동의) 채택에 동참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Earlier, an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Korea told South Korean media on the 18th, "The government's basic position is to work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s."

또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 11일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한국 정부가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증진과 함께 (북한)인권 문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서 대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In addition, Unification Minister Lee In-young said on the 11th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no choice but to "comprehensively judge (North Korea) human rights issu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peace."

VOA 뉴스 백성원입니다.
I'm Baek Sung-won of VOA News.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