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차관보 “러시아, 안보리에서 북한 비호…북한 노동자 외화벌이 허용” > 정치

본문 바로가기

정치

국무부 차관보 “러시아, 안보리에서 북한 비호…북한 노동자 외화벌이 허용”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said, "Russia protects North Korea at the Security Council...North Korean workers are allowed to earn foreign currency."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은정 작성일 22-12-02 04:30 댓글 0

본문

엘리엇 강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가 1일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러시아의 비확산 체제 약화 활동'에 대해 연설했다.

 엘리엇 강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가 1일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러시아의 비확산 체제 약화 활동'에 대해 연설했다.
Elliott Kang,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spoke about "Russia's activities to weaken the non-proliferation system" at a forum hosted by the FDD, a private organization in Washington on the 1st.

 

러시아가 대북 제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가 지적했습니다.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사용하며 북한을 비호하고 자국 내에서는 북한 노동자들의 외화벌이를 허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The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pointed out that Russia is not cooperating with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Russia is using veto power at the U.N. Security Council to protect North Korea and allow North Korean workers to earn foreign currency at home. Reporter Cho Eun-jung reports.

엘리엇 강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차관보는 1일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제재 무력화와 앞장서고 있는 실태를 비판했습니다.
Elliott Kang,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criticized Russia's neutralizat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t the U.N. Security Council on the 1st.

강 차관보는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이 주최한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러시아가 최근 몇 년간 국제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켰다며 그 중 한 예로 북한에 대한 접근법을 꼽았습니다.
In a keynote speech at a forum hosted by Washington's private organization, the Foundation for the Protection of Democracy (FDD), Kang cited Russia's approach to North Korea as one of the examples, saying it has weakened the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regime in recent years.

[녹취: 강 차관보] “Using its role a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Russia has gone to great lengths to shield the DPRK from accountability for increasingly provocative behavior.”
[Recording: Assistant Secretary Kang]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역할을 통해 북한을 점점 더 도발적인 행동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강 차관보는 “러시아가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를 활용해 갈수록 도발적인 북한의 행동을 감싸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습니다.
Assistant Secretary Kang said, "Russia has made great efforts to protect North Korea's increasingly provocative actions by utilizing its permanent seat on the Security Council."

북한이 안보리 결의들을 위반하며 탄도미사일을 60발 이상 발사했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현 유엔 제재 체재를 강화할 목적의 결의안 초안에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유엔이 북한의 미사일 활동에 조치를 취하는 것을 거듭 가로막았다”고 강 차관보는 말했습니다.
Although North Korea fired more than 60 ballistic missiles in violation of UNSC resolutions, "Russia and China repeatedly blocked the U.N. from taking action against North Korea by vetoing the draft resolution aimed at strengthening current U.N. sanctions," Kang said.

이어 러시아가 스스로 찬성한 대북 제재 결의를 자국 내에서 이행하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He then pointed out that Russia is not implementing its own sanctions resolution against North Korea.

[녹취: 강 차관보] “For example, Russia continues to allow numerous DPRK laborers to earn income in its jurisdiction in defiance of UNSCR 2397. And currently like the case just discussed regarding Iran, Russia i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prohibited munition from the DPRK to support Russia’s further invasion of Ukraine.”
[Recording: Assistant Secretary Kang] "예를 들어, 러시아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2397호를 무시하고 수많은 북한 노동자들이 자국 내에서 수입을 얻도록 계속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막 논의된 이란에 관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러시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추가 침공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으로부터 금지된 군수품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강 차관보는 “러시아가 안보리 결의 2397호를 무시하고 수많은 북한 노동자들이 자국 관할권 내에서 소득을 얻는 것을 계속 허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Russia continues to ignor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97 and allow numerous North Korean workers to earn income within their jurisdiction," Kang said.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채택한 대북 결의 2397호를 통해 모든 유엔 회원국이 북한 노동자를 2019년 12월까지 본국으로 송환하도록 했습니다.
The U.N. Security Council earlier required all U.N. members to repatriate North Korean workers by December 2019 through Resolution 2397 on North Korea adopted in 2017.

따라서 북한 노동자가 아직도 해외에서 외화벌이를 하도록 하는 것은 대북제재 위반입니다.
Therefore, it is a violat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still allow North Korean workers to earn foreign currency abroad.

강 차관보는 이 외에도 러시아가 이란과 군사 협력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 침략에 활용할 목적으로 북한에서 금지된 탄약을 확보하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In addition, Kang said Russia is "securing banned ammunition in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using it for invasion of Ukraine," just as it does in military cooperation with Iran.

강 차관보는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 에너지 제재를 가한 것을 언급하며 “이러한 노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필요한 수입을 얻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이란과 북한 등의 무기 확산 시도를 막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These efforts will not only prevent Russia from earning the income needed for the war in Ukraine, but also prevent Iran and North Korea from spreading weapons," Kang said, referring to the G7 and the European Union's energy sanctions on Russia.

또 러시아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갱신하고 대러 제재를 충실히 이행해 러시아의 해로운 활동에 대가를 물려야 한다고 강 차관보는 말했습니다.
Kang also said Russia should pay for its harmful activities by renewing export restrictions on Russia and faithfully implementing sanctions against Russia.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이 1일 '이란, 시리아, 러시아, 북한이 제기하는 비확산 위협'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이 1일 '이란, 시리아, 러시아, 북한이 제기하는 비확산 위협'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The Foundation for the Protection of Democracy (FDD), a private organization in Washington, held a debate on the "non-proliferation threats posed by Iran, Syria, Russia and North Korea" on the 1st.

 

“대북 압박 강화해야… 해외 노동자∙석탄 수출 겨냥”
"We need to strengthen pressure on North Korea… "Targeting overseas workers and coal exports."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앤서니 루지에로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은 대북 압박 캠페인을 다시 활성화해야 한다며 북한의 해외 노동자 송출 등을 추가 제재 분야로 제시했습니다.
Anthony Ruziero, a senior researcher at the Democratic Protection Foundation who attended the debate, suggested that North Korea's sending out overseas workers as additional sanctions, saying that the pressure campaign should be revitalized.

[녹취: 루지에로 연구원] “So the sanctions, so why should we do it? We should do it because it reduces their revenue streams. Right now North Korea is getting – and this is the Biden administration saying this earlier this year-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from overseas laborers, up to 100,000 of which are in China.”
[Recording: Researcher Lugiero] "그러니까 제재를, 그러니까 왜 우리가 해야 하죠? 그것은 그들의 수익원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북한은 - 그리고 이것은 바이든 행정부가 올해 초에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 해외 노동자들로부터 수억 달러, 그 중 최대 10만 달러가 중국에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 때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북한담당 국장을 지낸 루지에로 연구원은 제재가 북한의 수익 흐름을 끊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Rugiero, a former director of North Korea at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Council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said sanction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ut off North Korea's revenue stream.

이어 “바이든 정부는 올해 초 북한이 해외 노동자를 통해 수 억 달러를 벌어들인다고 밝혔고, 중국에만 10만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 부분을 겨냥해 추가 제재를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The Biden government said earlier this year that North Korea earns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through overseas workers, and it is known that there are 100,000 people in China alone," he said. "We can impose additional sanctions targeting this part."

이 밖에 북한의 불법 석탄 수출도 제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He also said North Korea's illegal coal exports should be sanctioned.

루지에로 연구원은 실질적으로 강력한 대북 제재가 유지됐던 기간은 2016년에서 2018년 초까지였다며 다시 그 때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Researcher Luziero said that the period when substantially strong sanctions on North Korea were maintained was from 2016 to early 2018, and that we should go back to that time.

[녹취: 루지에로 연구원] “The reason that that three year period was so impactful was because Obama and President Trump to their credit were willing to dispel the conventional notion and go after Chinese banks, Chinese companies and Chinese individuals, they went after them directly.”
[Recording: Researcher Lugiero] "그 3년의 기간이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친 이유는 오바마와 트럼프 대통령이 기꺼이 전통적인 생각을 불식시키고 중국 은행, 중국 기업, 중국 개인을 직접 뒤쫓았기 때문입니다."

루지에로 연구원은 “그 당시 제재가 강력했던 이유는 오바마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인 인식을 거부하고 중국 은행과 중국 기업, 중국인들을 직접 겨냥해 제재를 가했기 때문”이라면서 이 때 중국 정부도 실질적으로 협력에 나섰고 북한이 중국에서 물품을 조달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reason why the sanctions were strong at that time was because President Obama and Trump rejected traditional perceptions and imposed sanctions directly on Chinese banks, Chinese companies and Chinese people," said researcher Luziero, explaining that the Chinese government actually cooperated and North Korea could not procure goods from China.

“중국 ‘건설적 역할’ 않을 것… 북한 문제 후순위”
"China will not play a 'constructive role'..." "North Korea's subordinate position."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비확산국장을 지낸 마이클 앨런 ‘비컨 글로벌 전략’ 국장은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막는데 건설적인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Michael Allen, director of the White House's non-proliferation bureau during the Bush administration, said China would not play a constructive role in preventing North Korea's provocations.

[녹취: 앨런 국장] “It was an article of faith in the Bush administration and I think for other administrations that we needed the Chinese to help us and our maximum pressure campaigns, they were maybe somewhat helpful but now arguably the Chinese like that we’re somewhat distracted by the North Koreans…”
[Recording: Director Allen] "그것은 부시 행정부에 대한 믿음의 기사였고, 다른 행정부들에게는 우리를 도와줄 중국인들과 우리의 최대 압박 캠페인이 필요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지만, 지금 중국인들은 우리가 북한에 어느 정도 정신이 팔려 있다고 주장합니다."

앨런 국장은 부시 정부를 비롯한 미국 행정부들이 북한에 압박을 가하는데 중국이 동참할 것을 기대했고, 중국도 과거에는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Allen said he expected China to join the Bush administration and other U.S. administrations in putting pressure on North Korea, and that China has helped in the past.

하지만 “이제는 거의 틀림없이 우리가 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과 마음을 쏟는 등 주의를 분산하는 것을 중국이 좋아한다”며 “우리가 아시아에 집중하고 중국의 타이완 침공을 억제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앨런 국장은 말했습니다.
But "Now China almost certainly likes to distract, with time and heart devoted to solving North Korea," Allen said, "because we spend less time focusing on Asia and trying to contain China's invasion of Taiwan."

앨런 국장은 또 “미중 경쟁의 시대에 양국 간 현안 중 ‘북한 비확산’ 문제는 가장 뒤로 밀린다”며, 바이든 정부는 타이완, 아시아에서의 외교적 역할, 팬데믹, 기후변화, 경제 문제를 북한 문제보다 더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In an era of U.S.-China competition, the "non-proliferation" issue lags behind the two countries, and the Biden administration puts diplomatic roles in Taiwan, Asia, pandemics, climate change and economic issues above North Korea.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I'm Cho Eun-jung from VOA News.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