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종전선언' 설득나선 한국…"유엔사 존립 근거 약화" > 정치

본문 바로가기

정치

[심층] '종전선언' 설득나선 한국…"유엔사 존립 근거 약화"
[In-depth]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persuades Korea..."U.N.A's existence has weakened".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백성원 작성일 21-10-14 06:00 댓글 0

본문

지난해 9월 비무장지대 판문점 남측 지역.

 지난해 9월 비무장지대 판문점 남측 지역.
The southern part of the DMZ Panmunjom in September last year.

 

한국 정부가 미국에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종전선언’ 제안을 적극 설득하고 있는데 대해 워싱턴에서는 ‘시기상조’라는 평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핵무력을 강화하며 비무장지대 인근에 병력을 집중 배치한 북한과의 종전선언은 한국 안보를 위태롭게 하고 유엔군사령부 해체 빌미만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백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persuading the U.S. to propose President Moon Jae In's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Korean Peninsula," Washington is evaluating it as "early." Concerns are rising that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with North Korea, which strengthened nuclear power and deployed troop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will jeopardize South Korea's security and only give an excuse for dismantling the U.N. military command. Reporter Baek Sung-won covered it.

종전선언에 대한 워싱턴의 회의론은 한국 정부가 ‘종전’과 ‘선언’의 인과관계를 거꾸로 인식한다는 데 맞춰져 있습니다. 선언을 통해 전쟁이 끝나는 게 아니라, 전쟁 위협이 사라져야 비로소 그런 선언을 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Washington's skepticism about the end-of-war declaration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erceiv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d-of-war and the declaration in reverse. The logic is that the war does not end through a declaration, but only when the threat of war disappears can such a declaration be made.

이런 선후 관계를 국제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간주하는 미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남북한 최전선에 집중된 군사력 축소를 한국전 종전선언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 꼽습니다.
US military experts, who regard this relationship as the most basic principle of international politics, cite the reduction of military power concentrated on the front lines of the two Koreas as the most basic requirement for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은 VOA에 보낸 성명에서 종전선언이라는 개념은 북한군의 공격적 전진 배치 태세가 중단돼야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In a statement to VOA, former U.S. and U.S. Combined Commander Burwell Bell said the concept of an end-of-war declaration can be applied only when the North Korean military's aggressive forward deployment posture is suspended.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We all know that over 70% of the ground force capability of north Korea is in relatively close proximity to the DMZ.Further, the north's forward deployment of cannon and missile artillery which threatens Seoul directly amounts to a serious daily provocation.Therefore, an end of war declaration cannot be viewed as just a political statement, it must be viewed as a condition that requires changes to the positioning of the north Korean Army.”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북한 지상군 전력의 70% 이상이 비무장지대(DMZ)에 근접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게다가, 서울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북한의 대포와 미사일 포의 전진배치는 심각한 일일 도발에 해당합니다.따라서 종전 선언은 단순한 정치적 발언으로 볼 수 없고 북한군의 위치를 바꾸는 조건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지상군 병력의 70% 이상이 비무장지대에 근접해 있는 데다 서울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대포와 미사일 포의 전진 배치는 심각한 상시 위협에 해당하는 만큼, 종전선언은 단순한 정치적 선언으로 볼 수 없고 북한군의 태세 변화가 요구되는 조건으로 봐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As more than 70% of North Korean ground forces are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forward deployment of cannons and missiles that directly threaten Seoul is a serious constant threat,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cannot be seen as a simple political declaration and should be seen as a condition that requires a change in the North Korean military's posture.

앞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종전선언이 한반도 화해와 협력의 새 질서를 만드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종전선언’을 제안했습니다.
Earlier in a speech at the UN General Assembly on the 21st of last month,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 In proposed a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between South, North, U.S., and China," saying the declaration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creating a new order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n the 21st.

[현장음: 문재인 대통령] “한국전쟁 당사국들이 모여 종전선언을 이뤄낼 때, 비핵화의 불가역적 진전과 함께 완전한 평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Siteum: President Moon Jae In] "I believe that complete peace can begin with irreversible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when the parties to the Korean War gather to achieve the declaration of war."

조현 주유엔 한국대표부 대사는 11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비핵화는 반드시 성취해야 할 목표이고, 종전선언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했고, 12일 워싱턴에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난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종전선언에 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South Korean Ambassador Cho Hyun-joon said in a parliamentary audit of the National Assembly's Foreign Affairs and Unification Committee on the 11th that denuclearization is a must-have goal, and the end-of-war declaration can be a starting point, and that National Security Chief Seo Hoon also discussed the end-of-war declaration in Washington on the 12th.

[현장음: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우리측 구상을 미측에 설명하였고 양측은 긴밀히 논의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Siteum: Seo Hoon, head of the Blue House's National Security Office] "We explained our plan to the US about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and the two sides decided to discuss it closely."

하지만 회담 후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실 보도자료에서는 ‘종전선언’에 대한 언급 없이 “서훈 실장과 설리번 보좌관은 북한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진지하고 지속가능한 외교로 진입하기를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However, in a press release of the U.S. National Security Adviser's Office after the meeting, "Seo Hoon and Sullivan asked North Korea to enter serious and sustainable diplomacy toward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워싱턴에서는 한국 정부가 종전선언을 평화협정과 다른 ‘정치적 선언’으로 규정한 데 대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In Washington, many point out that the Korean government's designation of the end-of-war declaration as a "political declaration" different from the peace agreement is "unrealistic.

제임스 서먼 전 한미연합사령관은 “휴전 상태를 벗어나려면 협상을 거쳐 도출된 평화조약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세부사항이 충분히 담겨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전 종전은) 단순히 정치적 성명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중요하다”는 설명입니다.
James Thurman,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said, "To escape the ceasefire, a peace treaty drawn through negotiations is needed, and it must contain enough details." "(The end of the Korean War) A simple political statement is not enough, and specific details are important."

[제임스 서먼 전 한미연합사령관] “Clearly, there needs to be a negotiated peace treaty that has sufficient details to get out of Armistice conditions. I think a simple political statement is not sufficient.The devil is in the details on this.”
[James Thurman,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분명히, 휴전 조건을 벗어날 수 있는 충분한 세부사항을 가진 협상된 평화협정이 필요합니다. 저는 단순한 정치적 발언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악마는 이 일에 대한 세부 사항들에 있습니다."

벨 전 사령관도 “나는 어떤 종전선언도 평화협정 협상과 결부시킨다”며 “북한군이 아무런 통보도 없이 총공격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국을 직접 위협하고 있는 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은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Bell also pointed out, "I associate any declaration of war with peace agreement negotiations," adding, "As long as the North Korean military directly threatens South Korea with the ability to launch a full-scale attack without any notice, the declaration of war and peace cannot be separated."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Thus I tie together any end of war declaration together with the negotiation of a peace treaty -- they cannot be separated as long as north Korean military forces directly threaten the Republic of Korea with a no-notice general offensive attack capability.Just as with a peace treaty, any end of war declaration must be accompanied with a significant demonstration of good faith by the north Koreans in moving their forward deployed military away from the DMZ to positions that no longer threaten the Republic of Korea with a surprise attack.This principle should not be compromised in any way.”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그러므로 나는 어떤 종전선언도 평화협정 협상과 결부시켜 북한군이 아무런 통보도 받지 않은 총공세력으로 대한민국을 직접 위협하는 한 분리될 수 없습니다.평화협정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선전포고에도 비무장지대에서 더 이상 기습공격으로 한국을 위협하지 않는 위치로 전진 배치한 북한군의 선의의 증명이 수반되어야 합니다.이 원칙은 어떤 식으로든 훼손되어서는 안 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이 전진 배치 병력을 비무장지대(DMZ)로부터 한국에 더 이상 기습공격 위협을 가할 수 없는 위치까지 후퇴시킴으로써 상당한 정도의 선의를 증명하는 것이 평화협정과 마찬가지로 종전선언에도 수반돼야 한다”며 “이 원칙은 어떤 식으로든 타협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Specifically, he said, "Proving a considerable degree of goodwill by North Korea's retreat from the DMZ to a position where it can no longer pose a threat of surprise attacks on South Korea should be accompanied by a declaration of war like a peace agreement."

한반도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가 종전선언 논의에 속도를 내면서 미국을 적극 설득하고 있는데 대해 거듭된 대북 정책 실패를 만회하고 임기 말 외교적 유산을 남기겠다는 국내 정치적 요소가 다분하다고 지적했습니다.
Experts on the Korean Peninsula pointed out that the Moon Jae In government is actively persuading the U.S. as it speeds up discussions on the end of the war decla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litical factors in Korea to make up for repeated failures in North Korea's policy.

미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분석관과 국방부 선임 동북아 정보분석관을 지낸 브루스 벡톨 앤젤로주립대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의 북한 관련 목표를 되짚어 보면, 그는 모든 면에서 분명히 실패했다”며 “그러나 달성될 수 있는 한 가지 분명한 목표가 바로 ‘평화 체제’의 실현”이라고 밝혔습니다.
Bruce Becktol, an analyst at the Defense Intelligence Agency (DIA) under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and a senior Northeast Asian intelligence analyst, said, "Looking back on President Moon Jae In's goals related to North Korea, he clearly failed in every way."

[브루스 벡톨 앤젤로주립대 교수] “If one is to review the accomplishment of his goals toward the North, he has clearly failed in all of them.But there is one clear goal that might be accomplished – the bringing about of a “peace regime.”This is the reason (the key reason) wh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the United States to agree to talks on ending the armistice with North Korea.If this occurred, it would mean that Moon Jae-in might actually have a “success” to point to in his inter-Korea dealings as part of his legacy.And thus, this is the real “urgency” that is behind this suddenly being pushed so hard.”
[Bruce Becktoll Angelo State University professor] "대북 목표 달성을 검토한다면, 그는 분명히 그 모든 것에서 실패한 것입니다.그러나 달성될 수 있는 한 가지 분명한 목표가 있는데 바로 "평화 체제"의 실현입니다.이것이 바로 한국 정부가 미국이 북한과의 정전협정 체결을 위한 회담에 동의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이유입니다.만약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이는 문재인이 실제로 그의 유산의 일부로써 남북 거래에서 지적할 "실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따라서, 이것은 갑자기 강하게 밀어붙이는 이면의 진정한 "긴급함"입니다."

벡톨 교수는 “한국 정부가 미국에 북한과의 휴전상태를 끝내는 대화를 촉구하는 것은 이 때문”이라며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관여의 유산으로서 ‘성공’을 남기게 된다는 뜻이고, 실제로는 이것이 긴급한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Professor Bektol said, "This is wh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urges the U.S. to end the ceasefire with North Korea," adding, "If that happens, President Moon Jae In will leave a 'success' as a legacy of inter-Korean involvement, and this is actually urgent."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다고 한 것은 “그 중요성을 축소함으로써 미국이 무엇인가에 서명하도록 설득하기 위해서”라고 지적했습니다.
Bruce Klinger, a senior researcher at the Heritage Foundation, pointed out that President Moon Jae In called the end-of-war declaration a political declaration to "convince the United States to sign something by reducing its importance."

[녹취: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What they've tried to do is convince the US to sign something by downplaying its significance. They say it's a political document, it would have no impact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my response is ‘Well, if it would have no impact what's the utility of it? What's the purpose?’ and they can't respond to that.”
[Recording: Bruce Klinger, Senior Researcher at Heritage Foundation] "그들이 하려고 했던 것은 미국이 그 중요성을 경시하여 서명하도록 설득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그것이 정치적 문서이며 한반도 안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제 대답은 '만약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면, 이것의 효용성은 무엇일까요? 목적이 뭡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러면서 “한반도 안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정치적 문서라면, 무슨 소용이 있으며 무슨 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냐”고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He questioned, "If it's a political document that has no impact on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what's the point of promoting it for?"

워싱턴의 우려는 종전선언이 단순히 정치적, 상징적 제스처로 끝나는 대신 한국전쟁을 계기로 구축된 한국에 대한 유엔의 보호망을 훼손할 위험이 다분하다는 데 집중돼 있습니다. 전쟁 종식이 선언되면, 1950년 6월 26일과 28일 긴급 소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7월 7일 창설된 유엔군사령부의 존립 근거가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Washington's concerns are focused on the risk of damaging the U.N. protection net for South Korea, which was built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instead of simply ending with political and symbolic gestures. Concerns are rising that if the end of the war is declared, the grounds for the existence of the UN Command, which was founded on July 7, could be weakened under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urgently convened on June 26 and 28, 1950.

일각에서는 2018년 7월 31일 남북 장성급 회담에서 합의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비무장지대(DMZ) 내 전방초소(GP) 시범철수 등이 유엔군사령부 해체의 전조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Some observers say that the demilitarization of the Panmunjom Joint Security Area (JSA) and the pilot withdrawal of the outpost (GP) in the DMZ, which were agreed upon at the inter-Korean general-level meeting on July 31, 2018, are signs of the disbandment of the U.N.

랠프 코사 태평양포럼 명예회장은 “종전선언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거나 아예 쓸모가 없는 한편, 북한과 중국, 아마도 러시아를 대담하게 만들어 특히 유엔사령부 해체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요구하도록 만들 무의미한 제스처”라고 평가했습니다.
Ralph Kosa, honorary chairman of the Pacific Forum, said, "While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is little or no use, it is a meaningless gesture that will bold North Korea, China, and probably Russia, especially to demand more active dismantling of the U.N. command."

[랠프 코사 태평양포럼 명예회장] “I continue to view an “end of war declaration” as a meaningless gesture that will do little or no good but will embolden Pyongyang (and Beijing and perhaps Moscow) to demand more, especially the dissolution of UNC. What will North Korea do differently if there is a EOW declaration? Nothing, I suspect, other than to demand further proof of a lack of “hostile policy.”
[Ralph Cosa, honorary chairman of the Pacific Forum] "저는 "종전선언"을 별로 도움이 되지 않거나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무의미한 행동으로 보고 있지만, 북한 (그리고 베이징과 아마도 러시아)으로 하여금 유엔사 해체를 더 요구하도록 대담하게 할 것입니다. 만약 EOW 선언이 있다면 북한은 어떻게 다르게 할 것인가? "적대적 정책"의 부족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요구하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을 해도 북한은 ‘적대시 정책’을 철회했다는 추가 증거를 요구하는 것 외에 달리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He pointed out, "Even if we declare the end of the war, there is nothing else we can do but ask for additional evidence that North Korea has withdrawn its 'hostile dash policy'."

클링너 연구원도 “평화선언은 그저 기분만 좋게 하는 제스처로 북한의 재래식무기 위협을 실제로 줄이는 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하지만 위험한 것은 ‘전쟁이 끝났는데 왜 미-한 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 확장억지력을 유지하는가’와 같은 잘못된 평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우려했습니다.
Researcher Klinger also said, "The peace declaration has no effect on actually reducing North Korea's threat of conventional weapons with just a pleasant gesture," adding, "But what's dangerous is that it can lead to false peace perceptions such as 'the U.S.-Korea mutual defense treaty, USFK, and expansion deterrence'."

[녹취: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A peace declaration, even though it's a feel good gesture, would have no impact on actually reducing the North Korean threat, conventional force threat, but the danger is it could create a false sense of peace that would lead to misperceptions that if the war is over, why do we have a defense treaty, why do we have US forces, why do we have an extended deterrence guarantee etc.”
[Recording: Bruce Klinger, Senior Researcher at Heritage Foundation] "평화선언은 비록 기분 좋은 행동일지라도 북한의 위협, 재래식 무력 위협을 감소시키는 데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위험한 것은 전쟁이 끝난다면, 우리는 왜 방위조약을 맺는가, 우리는 왜 미군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잘못된 인식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확장 억지력 보장 등입니다."

실제로 북한은 유엔총회 등을 통해 유엔군사령부가 한국전쟁 도발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불법 기관이라며 해체를 지속해서 요구해 왔습니다.
In fact,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demand dismantling through the UN General Assembly, saying that the UN Command is an illegal organization created to justify the provocation of the Korean War.

중국 역시 종전선언 이후 이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Some predict that China will also persistently dig into this issue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벨 전 사령관은 “유엔군사령부와 관련해서는, 정전협정을 유지하고 도발과 협정 위반을 조사하는 유엔사의 현재 역할은 중요하다”며 “비무장지대 북한군 철수를 통한 선의 입증이 병행된 남북한 간 종전이 선언된다면, 유엔군사령부를 유지하되 이를 미군사령부 휘하에 둬선 안 된다는 게 내 생각”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에서 종전협정 혹은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유엔군사령부를 중립국 사령부로 전환해 보다 직접적으로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지휘통제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Bell said, "As for the UN Command, the current role of the UN Command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armistice agreement and investigate provocations and violations of the agreement," adding, "If the end of the war between the two Koreas is declared." "If a previous agreement or peace agreement is signed in Korea, the U.N. military headquarters should be converted to a neutral country headquarters to direct and control the neutral country supervisory committee more directly," he explained.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With regards to the United Nations Command, its current role in maintaining the Armistice Agreement and investigating provocations and violations of the Agreement is an important role.My sense is that if an end of war declaration is made between the DPRK and the ROK (which must be accompanied with a good faith demonstration of force drawdown along the DMZ by the north), then the United Nations Command should be maintained but not under United States Command.If an end of war agreement or a peace treaty were to be put in place in Korea, the United Nations Command should transform to a neutral nation command team and more directly command and control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유엔군 사령부는 정전협정을 유지하고 도발과 협정 위반을 조사하는 데 있어 현재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북한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무력철폐를 위한 선의의 시위와 함께) 북한과 남한 사이에 종전을 선언한다면 유엔군 사령부는 유지되어야 하지만 미국 사령부는 유지되어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한국에서 종전협정이나 평화협정이 체결되려면 유엔사령부가 중립국 지휘팀으로 전환해 중립국 감독위원회를 보다 직접적으로 지휘통제해야 합니다.

이어 “중립국감독위원회는 변화된 유엔군사령부 아래서 북한군과 미-한 양국 군 모두에 대한 사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새로운 임무와 목적으로 전환돼야 한다”면서 “이런 메커니즘은 모든 종전협정의 일부가 돼야 하며, 이는 ‘종전 군사력 배치 협정’ (예를 들면, 북한 병력의 비무장지대 철수) 이행을 보증하는 양국 군 사찰 권한을 유엔군사령부/중립국감독위원회에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Under the changed U.N. military command, the National Supervisory Commiss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new mission and purpose to provide inspection mechanisms for both North Korean and U.S.-South Korean forces," he said.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The Commission, under a transformed UNC, should transform to a new task and purpose to provide an inspection mechanism across both the DPRK military and the ROK / US military.This mechanism must be part of any end of war agreement that would empower the UNC/NNSC to inspect military capabilities of both sides to ensure that any end of war military force positioning agreement (for example moving north Korean forces away from the DMZ) was being implemented and agreed to.”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변혁된 유엔사 하에서 위원회는 북한 군과 한미 군 모두에 걸쳐 사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임무와 목적으로 전환되어야 합니다.이 메커니즘은 유엔사/NNSC가 양측의 군사력을 사찰하여 (예: 비무장지대(DMZ)에서 북한군을 철수시키는) 종전협정이 이행되고 합의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종전협정의 일부여야 합니다."

제임스 서먼 전 한미연합사령관은 “종전선언이 미국 혹은 유엔군사령부에 무슨 의미가 있을지 추측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한반도 안보 체제에 영향을 줄 어떤 변화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적절한 해결을 위해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거쳐야 할 수도 있는 많은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는 많은 일을 필요로 하는 만큼 서둘러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입니다.
James Thurman,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said, "I don't want to guess what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will mean to the U.S. or the U.N. military command," but he said he should be cautious about any changes that will affect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properly resolve it, we must make a lot of diplomatic efforts that may have to go through the UN Security Council, and this should not be carried out in a hurry as it requires a lot of work," he explained.

[제임스 서먼 전 한미연합사령관] “I do not want to speculate on what it would mean for the US or the United Nations Command.There has to be a lot of diplomatic work that would have to go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for appropriate resolutions.This requires a lot of work and should not be done in haste.”
[James Thurman,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저는 그것이 미국이나 유엔군 사령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추측하고 싶지 않습니다.적절한 해결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가야 할 외교적 노력이 많이 있어야 합니다.이것은 많은 작업이 필요하며 서둘러서는 안 됩니다."

지난 수년간 진행돼 온 유엔군사령부 ‘재활성화(revitalization)’ 정책이 북한과 한국 일각의 유엔군사령부 해체 요구에 대한 대비책 성격이라는 분석도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There has been a steady analysis that the UN Command's "revitalization" policy, which has been underway over the past few years, is a preparation for demands from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o dismantle the UN Command.

특히 2018년 7월 유엔사 부사령관에 미군이 아닌 캐나다 장성을 처음 임명한 데 이어 그 후임으로 호주 국적 장성을 임명한 것은 주요 직책을 주한미군이 겸직했던 유엔사를 다국적군 조직으로 탈바꿈시켜 국제사회의 지원을 더 끌어내려는 포석이 깔려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In particular, some argue that the appointment of a Canadian general, not the U.S. military, as a deputy commander of the U.N. history in July 2018, is aimed at transforming the U.N. office, which was also held by the U.S. Forces Korea, into a multinational organization.

한반도에 모종의 평화체제가 구축돼도 유엔사의 기능과 역할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미 군사 전문가들의 평가는 이런 진단과 맞물립니다.
Even if some kind of peace system is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S. military experts' assessment that the functions and roles of UN history are still valid coincides with this diagnosis.

마이클 오핸론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나는 평화협정에 찬성하지만 유엔의 지속적인 (한국) 주둔에도 찬성한다”며 “우리는 러시아,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고 ‘평화롭게’ 지내고 있지만 경계를 늦추지는 않는다”는 예를 들었습니다.
Michael O'Hanlon, a senior researcher at the Brookings Research Institute, said, "I'm in favor of the peace agreement, but I'm in favor of the continued (Korea) presence of the United Nations," adding, "We have diplomatic relations with Russia and China, but we don't let our guard down."

[마이클 오핸론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 “I favor a peace agreement but also favor a continued UN presence.We have diplomatic relations and “peace” with Russia and China too—but we don’t let down our guard.”
[Michael Oh Myron, senior researcher at Brookings Research Institute] "저는 평화협정에 찬성하지만 유엔의 지속적인 주둔에도 찬성합니다.우리는 러시아,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고 "평화"를 맺고 있지만, 경계를 늦추지는 않습니다."

‘평화협정 이후 유엔군사령부’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벨 전 사령관의 진단은 더욱 구체적입니다.
Bell's diagnosis of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UN Command after the peace agreement is more specific.

벨 전 사령관은 북한이 위협적인 병력을 비무장지대에서 철수해 재배치하는 합의를 전제로 종전협정이 체결될 경우 “유엔군사령부 국가지도부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새 지도부에는 남북한 군사 배치 상황을 관찰하고 병력 위치와 능력을 유엔사에 보고하게 될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직접 감독하는 새 임무가 부여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Bell reiterated that if the previous agreement is signed on the premise of North Korea's withdrawal and relocation of threatening troops from the Demilitarized Zone, "the new leadership should be given a new mission to directly supervise the neutral state supervisory committee."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An end of war agreement—with the above conditions being met—would require a reconfigur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national leadership with a new mission to directly supervise a reinvigorated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which would have a mission to observe military dispositions in both north Korea and the ROK, and make reports to the UNC regarding troop locations and capabilities.”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종전협정을 위해서는 북한과 남한 양측의 군사적 조치를 관찰하고, 이를 이행하는 임무를 갖게 될, 다시 활기를 띠는 중립국 감독위원회를 직접 감독하는 새로운 임무와 함께 유엔군 국가 지도부를 재구성해야 할 것입니다.유엔사에 전달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개편된 유엔군사령부/중립국감독위원회는 냉전 기간 동안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합의하고 활용한 것과 유사한 군사연락대표부(Military Liaison Missions: MLMs)를 채택할 것”이라며 “북한이 비무장지대 병력 철수를 이행하지 않으면 정전협정이 정한 대로 유엔군(현재는 한국군)이 비무장지대로 복귀한다는 ‘스냅백’ 조항이 어떤 종전선언에도 담겨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Furthermore, "The reorganized UN Command/Neutral Supervisory Commission will adopt Military Liaison Missions (MLMs), similar to those agreed and utilized by the US, UK, France,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adding, "If North Korea does not withdraw its troops from the Demilitarized Zone, the UN forces (now South Korea) will return."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This revised UNC / NNSC would employ Military Liaison Missions (MLMs) similar to those agreed to and used by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France and the Soviet Union in both East and West Germany during the Cold War.If the north Koreans failed to reposition their forces away from the DMZ, a "snap back" provision to any end of war declaration must therefore include a provision to return to DMZ dispositions by United Nations Forces (now South Korean forces) as provided for in the Armistice Agreement.”
[Berwell Bell, former commander of the ROK-US coalition] "이번 유엔사/NNSC 개정안은 냉전 기간 동안 동독과 서독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합의하고 사용한 것과 유사한 군사 연락 임무(MLM)를 채택하게 될 것입니다.북한이 비무장지대(DMZ)를 벗어나 병력을 재배치하는 데 실패한다면, 어떤 종전 선언에도 정전협정에 규정된 유엔군(현 한국군)의 DMZ 배치에 복귀할 수 있는 조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지난 2019년 4월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 있는 유엔사 본부에서 진행된 기자설명회에서 웨인 에어 부사령관은 유엔사 해체를 위해선 두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At a press briefing held at the UN headquarters in Camp Humphreys, Pyeongtaek, Gyeonggi-do in April 2019, Deputy Commander Wayne Air said two conditions must be met to dismantle the UN history.

첫 번째 방법으로는 유엔사가 창설될 때와 마찬가지로 유엔 안보리에서 결의안이 통과돼야 유엔사가 해체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어 두 번째 방법으로는 유엔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미국 정부가 정치적인 결정을 내리면 유엔사가 해체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The first way is that the UN agency can be dismantled only when a resolution is pass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just like when the UN agency was established. He then said he believes the U.S. government, which plays a leading role in the U.N. history, could dismantle it if it makes a political decision.

이론상, 종전선언이나 심지어 평화협정 후에도 유엔사가 해체될 만한 정치적 상황이나 조건으로 곧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In theory, it means that even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or even a peace agreement, it does not lead directly to the political situation or conditions in which the UN agency can be disbanded.

하지만 브루스 벡톨 교수는 “북한은 오랫동안 유엔군사령부의 철수를 원했고, 종전선언은 적어도 일반적 시각에서는 한미연합사령부와 주한미군의 미래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평화를 합의했는데 한반도에 미군이 왜 필요하냐고 주장할 근거를 북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However, Professor Bruce Becktoll predicted, "North Korea has long wanted to withdraw from the U.N. military command, and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could affect the future of the U.S.-U.S. coalition command and USFK, at least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We have agreed on peace, but we can provide North Korea with grounds to argue why the U.S. military is needed on the Korean Peninsula," he explained.

[녹취: 브루스 벡톨 앤젤로주립대 교수] “They would like to see the United Nations Command go away. Certainly that, at least in the public optics, also affects CFC and affects the future of US troops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he North Koreans are going to claim ‘Well, we have a peace agreement, why do you need US troops on the peninsula?’ I would respond to that, with past precedent shows us, the North Koreans have never kept their word on any agreement ever that they've had with the United States, or with South Korea.”
[Recording: Bruce Becktoll, professor at Angelo State University] "그들은 유엔군 사령부가 없어지는 것을 보고 싶어합니다. 분명, 적어도 대중적 시각에서는 연합사에도 영향을 미치고 한반도 주둔 미군의 미래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왜냐하면 북한은 '우리는 평화협정을 맺었는데, 왜 한반도에 미군이 필요합니까?'라고 주장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과거 전례에 따르면 북한은 미국이나 남한과 맺은 어떤 합의도 지켜본 적이 없습니다.

벡톨 교수는 “주한미군의 목적은 한국 방어이고, 북한의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오직 한 가지 이유, 즉 한국이 즉각 공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Professor Bektol pointed out, "The purpose of the U.S. military in South Korea is to defend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claim to withdraw U.S. troops from South Korea is only one reason: South Korea becomes vulnerable to immediate attacks."

[녹취: 브루스 벡톨 앤젤로주립대 교수] “The US troops are there to support the defens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in North Korea's interest to get US troops off the peninsula for one reason and one reason only, and that's because South Korea instantly becomes more vulnerable to attack. This is not a gray area, it's very black and white.”
[Recording: Bruce Becktoll, a professor at Angelo State University] "미군은 대한민국의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그곳에 있습니다. 한 가지 이유, 한 가지 이유만으로 미군이 한반도에서 철수하는 것이 북한의 이익인데, 그것은 남한이 즉각 공격에 더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이곳은 회색이 아니라 아주 흑백입니다."

또한 “미군의 한반도 주둔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북한은 동맹을 잠재적으로 분열시키고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He also expressed concern that "by questioning the need for U.S. troops to be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could potentially divide and weaken the alliance."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역량을 계속 강화하는 한 종전선언은 영원히 ‘미완’으로 남게 될 것이라는 인식도 워싱턴 한편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perception on the side of Washington that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will remain "incomplete" forever as long as North Korea continues to have nuclear weapons and strengthen its capabilities.

킹 맬로리 랜드연구소 국제위기안보센터 국장은 “미국은 어떤 회담에서도 북한이 법적 구속력이 있고 검증 가능한 정치적 약속과 군축 약속을 지속해서 준수해야만 최종적으로 한반도에서 병력의 단계별 감축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The U.S. should make it clear that at any meeting, North Korea will eventually reduce its troops by stages on the Korean Peninsula only if it continues to comply with legally binding and verifiable political promises and disarmament promises, said King Mallory Land Institute's International Crisis Security Center.

[킹 맬로리 랜드연구소 국제위기안보센터 국장] “And it should be made clear to the DPRK in any renewed talks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only eventually draw forces on the Peninsula down step by step and in return for the DPRK’s continued long-term adherence to legally-binding and satisfactorily verifiable political and disarmament commitments which the ROK has reviewed and agreed to in advance.”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Crisis and Security at King Mallory Land Research Institute] "그리고 미국은 결국 한반도의 군사력을 단계적으로 끌어내릴 뿐이라는 것을 북한에게 분명히 해야 합니다. 그 대가로 남한이 검토하고 동의한 법적 구속력이 있고 만족스럽게 검증 가능한 정치적, 군축 약속을 오랫동안 고수할 것입니다.밴스입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따라서 그런 종류의 무의미한 행동(종전선언)을 하는 대신 평화협정을 추진해야 하지만, 이는 ‘유럽 재래식무기 감축조약(CFE)’과 ‘신뢰안보구축조치(CSBMs)’를 통해서 했던 것처럼 한국에 대한 (북한의) 재래식무기 위협을 줄이기 위한 복잡한 협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searcher Klinger said, "So instead of making that kind of meaningless action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we should pursue a peace agreement, but this is a complicated negotiation to reduce the threat to South Korea (North Korea) as we did through the Conventional Weapons Reduction Treaty (CFE) and Trust Security Construction (CSBMs)."

[녹취: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So, what I've advocated is we should not do that kind of meaningless gesture, but instead work towards a peace treaty, but that would require sort of complicated negotiations to reduce the conventional force threat to the South, similar to what we did in the Conventional Armed Forces in Europe Treaty, and the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Treaty that we did in Europe…“If North Korea has violated the armistice thousands of times, why do we think they would abide by a peace declaration?”
[Recording: Bruce Klinger, Senior Researcher at Heritage Foundation] 그래서 제가 옹호하는 것은 우리가 그런 무의미한 행동을 하지 말고 평화협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유럽조약의 재래식 군대, 그리고 신뢰와 안보 빌딩 M에서 했던 것과 비슷하게 남한에 대한 재래식 군대의 위협을 줄이기 위한 일종의 복잡한 협상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우리가 유럽에서 한 조약을 완화시켜줍니다."북한이 정전협정을 수천 번 위반했다면, 우리는 왜 그들이 평화선언을 준수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클링너 연구원은 “휴전협정도 수없이 위반한 북한이 왜 평화선언을 준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반문했습니다.
Researcher Klinger asked back, "Why do you think North Korea, which has violated the ceasefire agreement countless times, will abide by the peace declaration?"

VOA 뉴스 백성원입니다.
I'm Baek Sung-won of VOA News.

버웰 벨 전 한미연합사령관 성명 전문 나는 어떤 형태의 종전선언도 북한군의 심각한 공격적 전진 배치의 중단과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우리는 북한 지상군 병력의 70% 이상이 비무장지대에 근접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게다가 서울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대포와 미사일 포의 전진 배치는 심각한 상시 위협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전선언은 단순한 정치적 선언으로 볼 수 없고 북한군의 태세 변화가 요구되는 조건으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나는 어떤 종전선언도 평화협정 협상과 결부시킨다. 북한군이 아무런 통보도 없이 총공격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국을 직접 위협하고 있는 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은 분리될 수 없다. 북한이 전진 배치 병력을 비무장지대(DMZ)로부터 한국에 더 이상 기습공격 위협을 가할 수 없는 위치까지 후퇴시킴으로써 상당한 정도의 선의를 증명하는 것이 평화협정과 마찬가지로 종전선언에도 수반돼야 한다. 이 원칙은 어떤 식으로든 타협돼선 안 된다. 유엔군사령부와 관련해서는, 정전협정을 유지하고 도발과 협정 위반을 조사하는 유엔사의 현재 역할은 중요하다. 비무장지대 북한군 철수를 통한 선의 입증이 병행된 남북한 간 종전이 선언된다면, 유엔군사령부를 유지하되 이를 미군사령부 휘하에 둬선 안 된다는 게 내 생각이다. 한국에서 종전협정 혹은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유엔군사령부를 중립국 사령부로 전환해 보다 직접적으로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지휘통제해야 한다. 중립국감독위원회는 변화된 유엔군사령부 아래서 북한군과 미-한 양국 군 모두에 대한 사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새로운 임무와 목적으로 전환돼야 한다. 이런 메커니즘은 모든 종전협정의 일부가 돼야 하며, 이는 ‘종전 군사력 배치 협정’ (예를 들면, 북한 병력의 비무장지대 철수) 이행을 보증하는 양국 군 사찰 권한을 유엔군사령부/중립국감독위원회에 부여할 것이다. 결론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종전협정은 군사협정인 정전협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순한 정치적 성명으로 간주될 수 없다. 둘째, 북한이 위협적인 병력을 비무장지대에서 철수해 재배치하는 합의가 병행되지 않으면 종전협정 혹은 종선선언을 해선 안 된다. 셋째, 위의 조건을 충족하는 종전협정에는 유엔군사령부 국가지도부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새 지도부에는 남북한 군사 배치 상황을 관찰하고 병력 위치와 능력을 유엔사에 보고하게 될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직접 감독하는 새 임무가 부여돼야 한다. 개편된 유엔군사령부/중립국감독위원회는 냉전 기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합의하고 활용한 것과 유사한 군사연락대표부(Military Liaison Missions: MLMs)를 채택할 것이다. 북한이 비무장지대 병력 철수를 이행하지 않으면 정전협정이 정한 대로 유엔군(현재는 한국군)이 비무장지대로 복귀한다는 ‘스냅백’ 조항이 어떤 종전선언에도 담겨야 한다. 끝으로, 종전선언은 주한미군이나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말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동맹에 대한 한국의 약속은 확고하고 단호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오랫동안 말해왔듯이,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한 한미연합사령부의 지휘권은 미국이 가져야 한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무기한 연기돼야 한다.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