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3년 연속 인도지원 계획서 북한 제외…“국제 요원 조속한 북한 복귀 중요” > 경제

본문 바로가기

경제

The United Nations excludes North Korea from its humanitarian aid plan for the third consecutive year."It is important for international agents to return to North Korea as soon as possible."
유엔, 3년 연속 인도지원 계획서 북한 제외…“국제 요원 조속한 북한 복귀 중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안소영 작성일 22-12-02 04:00 댓글 0

본문

뉴욕 유엔 본부의 유엔 로고.

The UN logo of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뉴욕 유엔 본부의 유엔 로고.

 

North Korea has been excluded from the United Nations' humanitarian aid list for three years. The United Nations said it is ready to provide aid to North Korea as soon as the situation permit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an early return of international agents. This is reporter Ahn Soyoung.
북한이 3년째 유엔의 인도지원 대상국에서 제외됐습니다. 유엔은 상황이 허락하는 대로 대북 지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며 국제 요원의 조속한 복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The 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23 report released by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 on the 1st did not include a plan to support North Korea again.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1일 공개한 ‘국제 인도지원 개요 2023(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23)’ 보고서에 또다시 북한에 대한 지원 계획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As a result, North Korea has been excluded from the aid list for three consecutive years.
이로써 북한은 3년 연속 지원 대상국에서 제외됐습니다.

OCHA spokesman Eri Kaneko expressed her hope that aid to North Korea will resume without elaborating on VOA's request for comment on North Korea's absenc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에리 카네코 OCHA 대변인은 이날 북한이 3년 연속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은 채 대북 지원이 재개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A spokesperson for Kaneko] "제한적인 정보와 접근성 부족을 포함한 우리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완전히 이행하기 위한 현재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유엔은 상황이 허락하는 한 북한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지원을 제공할 것을 약속합니다. 유엔은 2022년과 2023년의 남은 기간 동안 인도주의적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2020년 이후 중단된 역량 강화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국제 직원들이 가능한 한 빨리 북한으로 돌아가고, 물자가 들어가고, 직원들이 프로젝트 시행 현장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거듭 강조합니다.
[카네코 대변인] “Despite the current challenges to fully implement our projects and programmes, including limited information and lack of access, the UN remains committed to provide assistance to people in need in the DPRK, as circumstances allow. The UN continues planning for humanitarian operations for the remainder of 2022 and in 2023. We reiterate that it is vital that international staff can return to the DPRK as soon as possible, for supplies to enter, and for staff to access project implementation sites to initiate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at have stalled since 2020.

"Despite current challenges, including limited information and lack of access, the United Nations remains committed to helping anyone in need in North Korea as the situation permits," Kaneko said.
카네코 대변인은 “제한된 정보와 접근성 부족 등 현재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유엔은 여전히 상황이 허락하는 대로 북한 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The United Nations is continuing to plan humanitarian activities for the rest of 2022 and 2023," he said.
이어 “유엔은 남은 2022년과 2023년의 인도주의 활동을 계속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We reiterat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agents returning to North Korea as soon as possible to supply goods and access the project site to resume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at have been suspended since 2020," he explained.
그러면서 “우리는 국제 요원들이 가능한 한 빨리 북한에 복귀해 물자를 공급하고 2020년부터 중단된 역량 강화 활동 재개를 위해 사업 현장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U.N. earlier said it was unable to plan its activities for not including North Korea in its humanitarian aid plans in 2021 and 2022 because it had difficult access to North Korea and lacked new information to verify.
앞서 유엔은 지난 2021년과 2022년 북한을 인도주의 지원 계획에 포함하지 않은 데 대해 북한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활동 계획을 세울 수 없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Meanwhile, the OCHA said it would need $51.5 billion for humanitarian aid to 69 countries next year.
한편 이날 OCHA는 내년도 69개국을 대상으로 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515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He said the global population in need of help due to conflicts including the Ukrainian war,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food shortages and worsening poverty will increase from 274 million as of early this year to 329 million next year, the largest ever.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포함한 분쟁, 신종 코로나 등 전염병, 식량 부족과 빈곤 악화로 도움이 필요한 전 세계 인구가 올해 초 기준 2억 7천 400만 명에서 내년에는 3억 2천9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I'm Ahn So-young from VOA News.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