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북한 3대혁명대회, 경제 역경 극복 위한 주체사상 강조 목적" > 경제

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 전문가들 "북한 3대혁명대회, 경제 역경 극복 위한 주체사상 강조 목적"
U.S. experts say, "The purpose of emphasizing North Korea's three major revolution competitions and self-reliance ideas to overcome economic adversity."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영교 작성일 21-11-16 02:30 댓글 0

본문

15일 북한 평양역 주변 거리에

 15일 북한 평양역 주변 거리에 "올해 전투목표를 기어이 완수하자"는 내용의 선전물이 걸려있다.
On the 15th, a propaganda is hung on the streets around Pyongyang Station in North Korea, saying, "Let's complete this year's combat goals."

 

북한이 6년 만에 ‘3대혁명 선구자대회’를 여는 것은 경제 역경을 스스로 극복해야 한다는 ‘주체사상’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미국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정권이 진정한 경제개혁을 추구하지 않는 상황에서 5개년 전략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U.S. experts analyzed that North Korea's first "third revolution pioneer competition" in six years is aimed at emphasizing the "subject idea" that it must overcome economic adversity on its own. However,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a five-year strategy at a time when the North Korean regime is not pursuing genuine economic reform. Reporter Kim Young-kyo covered it.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조지타운대학 교수는 15일 VOA에 북한이 현 시점에서 '3대혁명 선구자대회'를 여는 건 과거 김일성 시대부터 이어진 ‘주체사상’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William Brown, a professor at Georgetown University, a North Korean economic expert, told VOA on the 15th that North Korea's holding of the Three Revolution Pioneers' Conference at this point seems to be aimed at emphasizing the "subject idea"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Kim Il-sung era.

[녹취: 브라운 교수] “This Three Revolution is a good example of going back to the past.”
[Recording: Professor Brown] "이 3대 혁명은 과거로 돌아가는 좋은 예입니다."

3대혁명은 김일성 주석이 강조해 왔던 가치로, 이를 강조하는 것은 과거로의 회귀를 뜻한다는 겁니다.
The three major revolutions are values that President Kim Il-sung has emphasized, and emphasizing them means a return to the past.

브라운 교수는 그러면서 김일성 주석이 처음 주체사상을 들고 나온 것은 1956년으로, 옛 소련과 중국이 북한을 점령할 수도 있다는 걱정을 하던 시기였다고 설명했습니다.
Professor Brown explained that President Kim Il-sung first came up with the idea of Juche in 1956, when he was worried that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hina might occupy North Korea.

[녹취: 브라운 교수] “Kim Il Sung initially started talking about Juche or what we call self-reliance, this was in 1956. At a time and he was probably rightfully concerned that the Soviet Union and China were going to take over. They were recovering from the Korean War and they were very dependent on aid from China and especially from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So, Kim Il Sung at that point launched this, we have to be self-reliant, kind of pushing back on both Mao and Khrushchev.”
[Recording: Professor Brown] 김일성이 주체라고 하는 것을 처음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은 1956년입니다. 한 때 그는 아마도 소련과 중국이 인수할 것이라고 걱정하는 것이 당연했을 것입니다. 그들은 한국 전쟁으로부터 회복하고 있었고 중국, 특히 소련, 동유럽으로부터의 원조에 매우 의존했습니다. 그래서 김일성이 이것을 시작했는데, 우리는 마오쩌둥과 흐루시초프 둘 다에 대해 자립심을 가져야 합니다."

북한이 한국전쟁 이후 복구 과정에서 중국과 소련, 동유럽 등으로부터의 지원에 의존적이었던 시기에 김일성 주석은 당시 중국의 마오쩌둥 주석이나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 등의 영향력을 물리치기 위해 ‘주체’를 강조했다는 겁니다.
At a time when North Korea relied on support from China,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during the restoration process after the Korean War, President Kim Il-sung emphasized the "subject" to defeat the influence of then Chinese President Mao Zedong and Soviet Secretary Nikita Khrushov.

앞서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제5차 '3대혁명 선구자대회'가 평양에서 열린다고 보도했습니다.
Earlier, North Korea's state-run "Chosun Central News Agency" reported that the 5th "3rd Revolution Pioneer Conference" will be held in Pyongyang.

3대혁명이란 사상과 기술, 문화 영역에서의 혁명을 뜻하는 말로, 북한은 1986년 11월, 1995년 11월, 2006년 2월, 2015년 11월 등 지금까지 4차례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 선구자대회' 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The three major revolutions refer to revolutions in thought, technology, and culture, and North Korea has held four "three major revolution red flag campaigns" so far, including November 1986, November 1995, February 2006, and November 2015.

브래들리 뱁슨 전 세계은행 고문은 북한이 '3대혁명 선구자대회’와 같은 행사를 통해 사상적 결속을 강조하는 것은 오래 이어온 전통의 일환이라고 말했습니다.
Bradley Babson, an advisor to the World Bank, said North Korea's emphasis on ideological solidarity through events such as the "Three Revolution Pioneers' Competition" is part of a long-standing tradition.

[녹취: 뱁슨 전 고문] “Trying to bolster ideological coherence in face of adversity is something that is an old theme. I mean, this is what Kim Il Sung was doing when he initiated the Three Revolution, you know, concept way back when they were coping with consequences of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and he was in an environment of controversy and hardship.”
[Recording: Torturing Babson] "역경 앞에서 이데올로기적 일관성을 강화하는 것은 오래된 주제입니다. 제 말은, 이것이 김일성이 삼대혁명을 일으켰을 때, 그러니까 그들이 한국전쟁의 충격에 대처했을 때, 그는 논쟁과 고난의 환경에 있었습니다.

‘3대혁명’이라는 것은 한국전쟁 후유증 속에서 김일성 주석이 논란과 역경을 직면한 가운데 만들어낸 개념이라는 겁니다.
The Three Revolutions' is a concept created by President Kim Il-sung amid controversy and adversity amid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트로이 스탠거론 한미경제연구소(KEI) 선임국장은 혁명과 주체 두 단어는 북한 건국 이후 늘 함께 묶이는 단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Troy Stangeron, senior director of the Korea-U.S.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EI), explained that the two words of revolution and subject have always been tied together since the founding of North Korea.

[녹취: 스탠거론 선임국장] “Revolution and self-reliance are two ideas that have been tied together since the founding of North Korea.”
[Recording: Senior Director of Standalone] "혁명과 자립은 북한 건국 이후 하나로 묶여온 두 가지 사상입니다."

스탠거론 선임국장은 북한이 겪고 있는 식품가격 상승이나 식량 부족 등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내부적으로 주민들에게 동기 부여를 제공해 생산을 늘리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enior Director Stangeron said the only way to overcome difficulties such as rising food prices and food shortages in North Korea is to motivate residents internally to increase production.

[녹취: 스탠거론 선임국장] “We're seeing, you know, inflation in terms of pricing for food, shortages of items, that the only way they really have to try and turn things around is to try and really motivate the populace internally to try and produce more with assets less and that's a very difficult and often, as we've seen in the case of North Korea, not successful way to go forward.”
[Recording: Senior Director of Standalone] "우리는 식량 가격, 품목의 부족이라는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을 보고 있습니다. 그들이 정말로 상황을 바꾸려고 노력해야 하는 유일한 방법은 내부적으로 사람들에게 더 적은 자산으로 더 많이 생산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북한의 경우에서 보듯이 매우 어렵고 종종 성공적인 방법이 아닙니다.o 앞으로 나가요."

하지만 과거 사례에서 봐 왔듯이 성공하기 어렵다고, 스탠거론 선임국장은 지적했습니다.
However, as we have seen in past cases, it is difficult to succeed, said Senior Director Stangeron.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의 실패를 시인한 데 이어 올해부터 시작된 새로운 경제전략도 난관에 부딪힐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Following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Kim Jong-un's admission of the failure of the five-year strate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January, the new economic strategy that began this year will also face difficulties.

그러면서, 북한의 상황은 개선된 것이 없고 국경 봉쇄로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말했습니다.
He said that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has not improved and that the border blockade has worsened.

[녹취: 스탠거론 선임국장] “Nothing has changed that would allow them to improve that situation. And it's in fact gotten worse because we know right now that the border is largely closed, and with North Korea telling us people they're likely to take and struggle to 2025 that suggests that whatever type of opening we see here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trade with China, that it's likely to be controlled, it's likely to be minimal, or at least compared to pre-pandemic trade, and that the country's economy is going to continue to struggle at least for the next few years.”
[Recording: Senior Director of Standalone] "그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어떤 변화도 없었습니다. 사실 우리는 국경이 대부분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한이 우리에게 2025년까지의 개방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우리가 가까운 미래에 볼 수 있는 어떤 개방이든지, 통제될 가능성이 아주 적거나, 아니면 통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말하는 상황에서 말이죠.미국 경제는 적어도 향후 몇 년간은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스탠거론 선임국장은 또 북한이 가까운 장래에 중국과의 무역을 재개하더라도 이는 통제된 상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전에 비해 최소한의 수준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Senior Director Stangeron also predicted that even if North Korea resumes trade with China in the near future, it will take place at the minimum level compared to before the COVID-19 pandemic.

이에 따라 북한의 어려움이 적어도 5년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As a result, North Korea's difficulties are expected to last at least five years.

브라운 교수는 북한 경제의 해법은 수출인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물건을 사들이기 위해서는 물건을 팔아야 한다는 겁니다.
Professor Brown said it is clear that the solution to the North Korean economy is exports. In order to buy something, you have to sell it.

[녹취: 브라운 교수] “The solution is really for them to develop exports. It’s an obvious thing. They need to sell stuff in order to buy stuff. But none of these plans in the five-year plan and this year's plan in January statement, they don't say very much at all about exporting. And to the contrary, they're talking that Juche, self-reliance, we don't need that. We don't need imports. That's not going to do him any good. So, I think the whole messaging is very, very poor, and very discouraged, discouraging to any knowledgeable North Korean.”
[Recording: Professor Brown] "해법은 수출을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그것은 당연해요. 그들은 물건을 사기 위해 물건을 팔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들 중 어느 것도 5개년 계획과 올해 1월 성명서에서 수출에 대해 별로 언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반대로, 그들은 주체, 자립은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수입품은 필요 없습니다. 그것은 그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아요. 그래서 저는 이 모든 메시지가 매우 매우 형편없고, 매우 낙담되어 지식 있는 북한 사람들에게는 낙담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북한은 올해 초 발표한 5개년 경제계획에서 수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주체와 자력갱생을 강조했다고 브라운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However, Professor Brown explained that North Korea did not mention exports in the five-year economic plan announced earlier this year, but rather emphasized subject and self-reliance.

현 시점에서 수입을 늘리는 것은 북한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It is because increasing imports at this point does not help the North Korean economy.

그러나 브라운 교수는 이런 메시지는 북한 주민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owever, Professor Brown said that such a message is difficult for North Koreans to accept.

VOA 김영교 기자입니다.
I'm reporter Kim Young-kyo of VOA.

출처 : VOA한국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깨다커뮤니케이션 | 서울 서초구 방배중앙로 401호
광고 및 제휴문의 : [email protected]
Copyright © 깨다닷컴. All rights reserved.